•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성사랑사회 중간과제

예진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7.02
최종 저작일
2018.10
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교양과목 학년 공통
과목명 성사랑사회 자료 22건
A형
특정한 여성주의나 여성주의적 사회운동의 사례를 골라서 (한국 혹은 해외 사례 모두 가능) 그 운동이 해결하고자 했던 사회적 과제는 무엇이며, 어떤 현실에 대한 저항으로 나타나게 된 것인지, 그들은 어떤 방향으로 현실을 개선해...

더보기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특정한 여성주의나 여성주의적 사회운동의 사례를 골라서 (한국 혹은 해외 사례 모두 가능) 그 운동이 해결하고자 했던 사회적 과제는 무엇이며, 어떤 현실에 대한 저항으로 나타나게 된 것인지, 그들은 어떤 방향으로 현실을 개선해가고자 했는지를 서술하라. (30점 만점)

목차

I. 서론

II. 본론
II-1. 미투운동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과제
II-2. 미투운동이 저항하고자 하는 사회적 현실.
II-2-1. 일부 극우단체와의 대립.
II-2-2. 미투 악용사례 발생.
II-3. 미투운동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
II-3-1.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인식 개선
II-3-2. 성범죄 고발의 활성화를 통한 성범죄율 저감

III.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한국 사회는 우후죽순처럼 불거지는 미투운동으로 떠들썩하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성범죄는 전 세계적으로 사회 한켠에 자리잡고 있었다. 성범죄는 여타 다른 종류의 범죄들과는 달리 피해자가 사회적으로나 인권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지속적인 고통에 시달리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회적 시선으로부터 온다. 성범죄의 피해자로 밝혀지게 되면 세간의 이목이 쏠리며, 이후의 사회생활, 개인생활 뿐만 아니라 결혼까지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이 오는 이유는 피해자에게 책임을 묻는 사회적 풍조와 관련이 있다. 특히나 여성의 경우 오랜 유교적인 사회 및 문화에 의해 정조를 강요받아 왔고, 사회 구성원들에게 여성의 순결은 당연히 지켜져야 할 필수 덕목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여성의 성범죄 피해 사실은 해당 여성의 순결과 정조를 지키지 못한 것으로 간주되어 타인들은 인식속에서 사회 혹은 문화적인 편견에 의해 이들에게서 문제점을 찾게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해자가 사회적으로나 인권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지속적인 고통에 시달리게 하였다.

참고 자료

성 사랑 사회, 김엘리·박진희·박혜경·배은경·백영경·이남희·이선옥·이해진·조주은·추지현·태희원·한채윤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 김은실·권김현영·김신현경·김애라·김주희·민가영·서정애·이해응·정희진 지음, 김은실 엮음, Humanist
France, Lisa Respers (2017년 10월 16일). “#MeToo: Social media flooded with personal stories of assault”. CNN. 2017년 10월 16일에 확인함.
Schmidt, Samantha (2017년 10월 16일). “#MeToo: Harvey Weinstein case moves thousands to tell their own stories of abuse, break silence”. 《워싱턴 포스트》. 2017년 10월 16일에 확인함.
Chuck, Elizabeth (2017년 10월 16일). “#MeToo: Alyssa Milano promotes hashtag that becomes anti-harassment rallying cry”. NBC 뉴스. 2017년 10월 16일에 확인함.
Guerra, Cristela (2017년 10월 17일). “Where'd the "Me Too" initiative really come from? Activist Tarana Burke, long before hashtags - The Boston Globe”. 《BostonGlobe.com》. 2017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Khomami, Nadia (2017년 10월 20일). “#MeToo: how a hashtag became a rallying cry against sexual harassment” – www.theguardian.com 경유.
김경호 (2018년 2월 26일). “문 대통령 "'미투' 운동 지지…적극 수사해야"”. 《MBC》.
박진준 (2018년 2월 28일). “미투 운동, 정부 대응은? "관련 대책 예산도 없어"”. 《MBC》.
배승주 (2018년 3월 2일). “미성년 단원 성폭행 혐의 조증윤, '미투' 가해자 첫 구속”. 《JTBC》.
‘미투’악용한 50대 여성, 무고죄로 징역형 – UPI뉴스, 오다인 기자
[‘각학각색(各學各色)‘I한국사회 뒤흔드는 미투 운동-심리학] 권위주의에 민감하고 연대의 힘 발휘 – 중앙시사매거진, 최진영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예진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성사랑사회 중간과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