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장루형성술 환자 간호

*승*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3.10
최종 저작일
2016.04
15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결장암으로 외과적 수술과 함께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와 회복기 간호중재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2. 장루형성술 환자는 심리적인 충격이 큰 경우가 많다.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와 가족에게 실시해야 할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3. 본인이 위의 교육을 제공한다면 어떤 교육방법과 교육매체·도구 등을 선택하여 수행할 것인지와 교육의 효과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교육 효과 평가 방법)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늘날 우리의 서구화된 식생활 및 생활습관으로 인해 대장암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국가 암정보 센터(2013)의 통계에 따르면 대장암은 남자는 2위, 여자는 3위로 통합 암 발생 순위 3위를 차지하고 있고, 2014년의 사망 분율에서 4위를 차지하였다. 2013년 보건복지부의 통계에 따르면 대장암 환자들은 수술적 치료로 장루형성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장루환자는 2만 명 이상이며, 일시적인 장루환자의 수까지 포함한다면 더 많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장루는 장 내용물이 장에서 복부의 피부에 있는 누공을 통해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수술적 처치로, 종양, 게실병, 장 허혈, 크론씨병, 장 폐색, 선천성 기형, 외상, 가족성 용종증 등의 병변으로 인해서 대장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장의 유통이 불가능해질 경우에 장루 형성술이 시행되어진다. 장루는 위치와 유형에 따라 명칭이 다르며, 종류로는 결장루, 회장루로 나누어진다(신경림 등, 2010). 회장루(ileostomy)는 소장의 끝부분인 회장으로 만든 인공항문이며, 소화효소가 많이 함유되어 묽은 변이 배출되어 피부에 자극을 잘 일으킨다. 결장루(colostomy)는 정상적으로 형성된 대변과 유사하게 배출된다(국가암정보센터, 2013).
이처럼 장루보유자는 암에 대한 적응은 물론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삶의 질에도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된다(이윤진, 2006). 장루보유자의 신체적 문제는 대변누출, 장루주머니의 팽창, 장루부착물 관리, 피부손상이 있으며 이로 인해 개인위생이 감소되고 신체상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Silva, Ratnayake, & Deen, 2003). 이와 같이 장루형성술은 환자에게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장암으로 영구적 결장루를 보유하게 되는 환자들은 결장루로 인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며, 이는 심리사회적 적응을 필요로 한다(차보경·백은선, 2009).

참고 자료

국가암정보센터. 통계로 보는 암, http://www.cancer.go.kr/mbs/cancer/
국가건강정보포털. 장루 및 장루 관리. http://health.mw.go.kr/TotalSearch/Search.do
김수미(2008). 성인 간호학실습, KOCW 공개강의, 전남대학교,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36701
김중석(2010). 직장암환자에서 저위전방 절제술 후 문합부 누출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의학석사학위논문
박재갑(2005). 대장항문학, 일조각, 2005
병원간호사회. 간호사가 알려주는 홈케어, 소화기질환, http://www.khna.or.kr/homecare/04_nerve/
보건복지부(2014).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장루연구회(2004). 제3회 서울장루연구회 및 강습회, 서울장루연구회, 2004
송경숙.박영숙(1998). 장루보유자의 삶의 질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9(4), PP.817-828
신경림, 김옥수, 김귀분, 김남초, 박지원, 소희영, 김춘길, 서연옥, 강윤희, 이혜련, 정승은, 신수진, 이영희, 이은자, 최귀윤, 김정아, 서남숙, 서인선, 정은숙, 김애리 외(2010). 성인간호학 Ⅱ, 현문사
염정원(2015). 노인 장루보유자의 영양상태와 자가간호 정도,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정(2014). 장루환자의 신체상,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관계, 고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
이은남(1991). 결장루 보유자의 강인성과 사회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간호학회지, 21(2), 218-229
이윤진(2006). 장루보유자의 대처양상과 삶의 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숙(1990). 결장루보유자의 가족지지와 자가간호이행 정도와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옥(1999). 영구적 결장루보유자의 수술 후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Empirical Study),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고학과 석사학위논문
차보경·백은선(2009). 영구적 결장루 보유자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2009년 11월, J Korean Acad Fundam Nurs Vol.16 No.4, pp.506-514, November, 2009
최경숙, 임채기, 최재욱, 강성규, 염용태(2002). 일부 산업재해 환자들에서 외 상후 스트레스장애. 간호과학회 Vol.41 No.3
최칠성(2007). 장루보유자의 장루자가간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정, 인제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혜경, 송희영(2008) 암환자와 건강한 성인의 스트레스 지각과 대응양상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v.11,no.2, 91-98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편집부(2016), 성인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한국장루협회. http://www.ostomy.or.kr
한애경(1988). 결장루보유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정도와 자가간호 상태와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Beaver, K, Latif, S., & Williamson, S., Prpcter, D., Sheridan, J., Heath, J.,et al.(2010). An exploratory study of the follow-up care needs of patients treated for colorectal cancer. Jounal of Clinical Nursing, 19(23-24), 3291-3300
Becker, A., Schulten-Oberborsch, G., Beck, U., & Vestweber, K. H.(1999). Stoma care nurses: good value for money? World Journal of Surgery, 23(7), 638-643.
Karadag, A., Mentes, B. B., & Ayaz, S.(2005). Colostomy irrigation; result of 25 cas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quality of life, J Clin Nurs, 14(4), 479-485
Nancy J.B(2010). Post-traumatic stress pisorder Rrelated to Cancer; hope, healing, and Recovery. Oncolgy Nursing Forum 37(5). 331-343
Siva, M. A. Ratnayke, G., & Deen, K. I.(2003). Quality of life stoma patients: Temporary ileostomy versus colostomy. World Journal of Surgery, 27(4), pp.421-424.
Simmons, K. L., Smith J. A., Bobb, K. A., & Liles, L. L.(2007). Adjustment to colostomy: stoma acceptance, stoma care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0(6), pp.627-635.
Piwonka, M.A., & Merino, J. M.(1999). A multidimensional modelling of predictors influencing the adjustment to a colostomy.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26, 298-305.
White, C.A., & Hunt, J. C.(1997). Psychological factors in postoperative adjustment to stoma surgery. Annals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 79, 3-7.
*승*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장루형성술 환자 간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