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유아 지리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연구

*하*
최초 등록일
2010.10.18
최종 저작일
2009.02
7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유아 사회교육은 유아의 사회성에 대한 발달과 함께 사회과학적 개념의 전달을 목표로 한다. 이제까지의 유아교육은 유아의 정서발달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데에 비해, 사회과학적 개념의 발달에는 소홀한 부분이 있었다. 또한 사회과학적 개념이 역사교육, 경제교육, 다문화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아에게 필요한 지리교육에 대해서는 유아에게 어렵다고 인식되어져 왔다.
이러한 지리교육에 대해 유아에게 올바른 개념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교사들이 어떠한 준비가 되어져 있으며, 그 필요성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논문에서 밝히고 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본문내용

지식 정보화 시대인 21세기 사회는 급격한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조직과 운영의 원리, 기본적인 가치관조차도 바뀌는 질적인 전환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문미옥 ․ 김영옥 ․ 나정 ․ 양옥승 ․ 이기숙 ․ 임재택, 2007). 이러한 변화는 넘쳐나는 정보들의 유입과 발전 이면에 불평등, 인간성 상실과 갈등, 환경 등의 문제도 동반하고 있다. 21세기를 살아가야 하는 유아는 극적인 변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사람과 자연을 존중하는 세계관을 지녀야 한다. 이에 따라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은 21세기 지식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사람과 자연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한국인 육성’을 기본 방향으로 하였다. 유아는 자기 자신 및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와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관계들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나아가 공동체의 책임감 있는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시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연구(문미옥 ․ 조부경 ․ 이연승 ․ 신은수 ․ 김지영 ․ 안진경 ․ 김영실, 2008)에서도 사회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관련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현상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반면,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며 감정을 조절한다’는 항목을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교사들은 유아기에 사회적 지식 보다는 자아 존중감 형성과 자기감정 조절을 사회생활영역의 가장 중요한 교육목표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미사회교육협회(NCSS, 1994)에서 제시한 사회교육 내용과는 차이를 보인다. 즉, 사회교육 내용에 대해 다양한 지식이 아닌 협의의 지식만을 인식하고 다루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참고 자료

강경원 ․ 류재명 ․ 서태열 ․ 송언근 ․ 이경한 ․ 홍기대 ․ 황홍섭(2001). 초등지리교육론. 학문사
강창숙 ․ 김일기(2001). 지리개념의 발달과 학습에 대한 인지심리학적인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6(2). 161-176.
강창숙(2002). 협동적 상호작용을 통한 지리개념 발달과 근접발달영역에 관한 연구: 중학생 수도권 개념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37(4). 425-441.
강효은(200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의 사회생활영역 내용 및 교수방법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권화숙 ․ 김정희(2005). 미국과 한국의 유치원 평가준거 탐색. 비교교육연구, 15(4). 15-35.
김규수 ․ 고정곤(2005). 유아사회교육. 양서원
김덕순(2004).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미애 (2004). 유아의 쌓기 놀이 활동과 지도 이해능력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민자(2005).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영옥 ․ 엄정애 ․ 최윤정 ․ 박경희(2000). 유아사회교육의 통합적 운영. 서울: 창지사.
김진숙(2007). 유치원교육과정 개정 연구의 과정과 결과. 유아교육연구. 27(1). 15-35.
김화자(2007). 자기 주도적 산책과 길찾기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지리개념에 미치는 영향: 산책과 길찾기.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혜연(2004). 지도관련 활동이 유아의 공간조망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재명(2000). 제7차 지리과 교육과정의 체제개발 방안. 대한지리학회지, 32(1). 113-124.
류재명(2000). 지리교육과 삶의 질: 21세기 지리교육의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35(2). 341-349.
류재명(2001). 미국 중등학교의 지리교육과정과 수업활동에 관한 연구: 미네소타주를 중심으로. 지리․환경교육, 9(2). 27-48.
문미옥 ․ 김영옥 ․ 나정 ․ 양옥승 ․ 이기숙 ․ 임재택(2007). 교육부 고시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총론 시안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27(1). 37-72.
박길만(2000). 지도놀이 학습을 통한 지리적 사고력 신장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선미(2001). 한 ․ 미 지리교육의 내용과 조직비교. 대한지리학회지, 36(2). 191-210.
박선희(2005). 고급사고력 신장을 위한 역할놀이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현장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0(1). 107-125.
박승규 ․ 김일기(2001). 일상생활에 근거한 지리교과의 재개념화. 대한지리학회지, 36(1). 1-14.
박승규(2005). 어린이 공간의 개인적 의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진희(2006). 전통음식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찬옥 ․ 이경림 ․ 장명림(2007). 유치원 교육과정 사회생활 영역의 개정방향 탐구. 유아교육연구, 27(1). 97-122.
서태열(2003). 자연주의 교육사상가들에게서 나타나는 지리적 관심: 지리학 및 지리교육에 미친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38(5). 802-821.
송언근(2000). 지리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을 위한 또 하나의 구성: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5(1). 95-120.
송언근(2000). 구성주의 지리교육의 실천적 구성을 위한 현장연구 Ⅰ. 대한지리학회지, 35(4). 565-583.
송언근(2001). 구성주의 지리교육의 실천적 구성을 위한 현장연구 Ⅱ. 대한지리학회지, 36(1). 15-34.
안남이 (2002). 지리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리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안선 ․ 김희진(2003).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나타난 유아사회교육 관련 활동 분석. 유아교육연구, 23(1). 53-78.
양옥승(2000). 유아교육과정이론. 교육학연구, 38(1). 135-151.
양옥승(2003). 유아교육개론. 학지사
양옥승 ․ 신은미(2001). 「유아교육 ․ 보육기관 평가인정제 모형(안)」의 평가인정기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6(3). 117-134.
양옥승 ․ 이정란 ․ 이혜원(2001).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에서 본 유아사회교육모형. 교육연구, 9. 1-27.
양옥승 ․ 이원영 ․ 이영자 ․ 이기숙(2003). 21세기 바람직한 유아교육에 대한 한국유아교육학회의 입장. 정민사
양옥승 ․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력 관련변인간의 관계분석. 교육방법연구, 15(2). 143-159.
양옥승(2007). 이론적 탐구분야로서의 유아교육과정 이해. 유아교육연구, 27(2). 281-294.
양옥승(2007). 이론적 탐구분야로서의 유아교육과정 이해(3). 유아교육연구, 27(6). 383-396.
양옥승(2008). 이론적 탐구분야로서의 유아교육과정 이해(2).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425-440.
엄정애 외 저(2007). (교사와 유아를 위한) 유아사회교육 활동자료. 교육인적자원부
오채선․ 이석순 ․ 박은미 ․ 이명순 ․ 장혜자 ․ 김영신 ․ 김미애 (2008). 영유아 사회교육. 도서출판 파란마음.
윤정아(1998).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윤정아 ․ 박은혜(1998). 유아 사회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15(2), 107-127.
이경한(1996). 지리교육의 가치목표와 그 내용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1(1). 38-48.
이명옥(2001). 경제동화에 대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명희(2006). 유아기의 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시현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미진(2008). 지도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좌표 인식능력과 지리적 공간관계 표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숙란(2002).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 사회교육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영민(1999).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지리교사들의 인식과 재정립 방향의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34(3). 281-293.
이영자 ․ 유효순 ․ 이정욱 (2001). 주제중심의 통합적 접근방법에 의한 유아사회교육. 교문사
이옥주(2006). 유아 사회교육의 교수내용 지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옥주(2008). 유아교사의 사회교수 내용 지식.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235-260.
이은화 ․ 김영옥(1993). 유아사회교육. 서울: 양서원.
이정진(2004). 경제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혜림(2008). 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임명아(2007). 경제동화를 활용한 극놀이가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및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장명주(2004).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장영희 ․ 엄정애 ․ 박수진(2007). 우리나라 유치원-초등학교 사회과 관련 교육과정 내용 연계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277-293.
장영희 ․ 엄정애 ․ 박수진(2006). 사회생활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개념의 범위. 대한어린이교육협회 연구발표회 자료.
장의선 ․ 김일기 ․ 이민부 ․ 박승규(2002).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의미와 실제. 대한지리학회지, 37(3). 247-261.
장혜정(2007). 어린이의 일상공간과 지리적 자아형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장희경(2007).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예화 ․ 최미현 ․ 천희영 ․ 서현아 ․ 황해익(2003). 유아사회교육. 서울: 양서원.
조명희(2008). 한미 초등 사회과 교과서 지도학습 내용 분석: 도해력 발달단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성욱(2002). 지리교육내용의 표준설정 방법: 지적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7(3). 276-291.
조은진 ․ 안남이 (2002). 지리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리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3(6). 81-101.
최낭수(2000). 지리교과에서 아동의 지도 도해력 향상에 관한 실험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현민숙(2001). 지도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위상학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혜경(2001). 유아의 기하학적 공간 이해에 관한 표상능력. 교육학연구, 39(2), 81-89.
홍혜경 ․ 김영옥(2001). 유아사회교육과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기초 연구. 유아교육연구, 21(1). 27-49.
홍혜경 ․ 김현 ․ 정미영 (2007). 유아의 산책 후 지도그리기에 나타난 지도 표현 유형과 지리적 표상의 변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1). 215-235.

Blaut, J. M. & Stea, D. (1971). Studies of Geographic Learning.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Fisher, C. B & Brain, L. G. (1981). Children`s Left-Right Concepts: Generalization across Figure and Location. Child Developmen.
Hannibal, M. & Vasiliev, R. Lin, Q. (2002). Teaching young children basic concepts of Geography a literature-based approach.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0(2), 81-86.
Hart, R. (1979). Children`s Experience of Place. New York: Irvington Publisher.
Heywood (1983). An Investingation of the Factors involved in the Geographical work of Boys and Girls, Unpublished M. A. thesis, University of London, 1983.
Jarolimek (1990).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Education.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Katz, L. G. (1995). Talk with teachers of young children. Norwood. NJ: Ablex
Lunenburg (2000).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can make a difference in academic, economic, and social arenas. Education. 120(3). 521-528.
Martin, F. (1995). Teaching Early Years Geography. Cambridge: Chris Kington Publishing.
Melendez, W. R., Beck, V & Fletcher, M (2000). Teaching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Albany, NY: Delmar.
Michaelis, J. U. (1980). Social studies for children: A guide to basic instruction(7th ed). NJ: Prentice-Hall. Inc.
Mindes & Gayle (2006). Teaching young children Social Studies. Greenwood Pub Group.
NCSS(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1994).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Expectations of Excellence. Washington, D.C: Author.
Savage & Armstrong (2000). Effective Teach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Prentice-Hall. Inc
Seefeldt (2005).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 Prentice-hall. Inc
Seefeldt, C. & Carol (1999). Where learning begins geography. with Activities for Children Ages 2 to 5 years of age. U.S Department of Education
Seefeldt, C. & Galper, A. (2000). Active experiences for active children: Social Studie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Inc.
Skeel, D. J. (1995). Elementary Social Studies (challenges for tomorrow`s world).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Stolman, J. P. (1991). Geography at school and home. ERIC Digest. ERIC ED 335284.
Sunal, C. S. (1993). Social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enard Spodek(ed), A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ae-Yeol Seo (1996). A Study on The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 Concept: The Conception of `Plac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1(4). 699-715.
Walsh, H. (1980). Introducing the young child to the social world. New York: Macmillan.
Welton, D. A. & Mallan, J. T (1999). Children and their world(Teach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Stragies for teaching social studies(6th ed). Boston, MA: Houghton Mifflin Co.
*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유아 지리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