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생산성 평가 추이 분석

*대*
최초 등록일
2010.11.11
최종 저작일
2009.10
8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2009 대한 산업공학회 투고 논문.

본 연구는 산업응용기술분야 7개 연구기관의 2003~2008년 6개년도 자료를 대상으로 상대적 효율성 평가 기법인 DEA을 적용하여 연구개발 생산성 변화를 고찰한다. 분석 대상 기관의 제한적인 수에 따른 DEA 적용 한계를 극복 하기 위해서 AHP 방법을 활용하여 DEA 모형의 가중치에 대한 제약조건을 부가하였으며, 또한 각 연구기관별 연구개발생산성에 대한 동태적 변화 분석을 위해서 맘퀴스트 생산성지수를 산출하여 기관별, 시기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주요어: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개발생산성,DEA, 맘퀴스트 생산성지수, AHP

목차

1. 서론

2. 분석모형 및 기존 연구

3. 분석절차 및 자료

4 분석결과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제성장에 있어서 기술진보의 중요성은 선진공업국의 경험을 통해 입증되었으며 개발도상국의 산업발전에 있어서도 기술요소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으로 등장하였다. 오늘날 기술진보의 대부분은 많은 연구비 지출을 수반하는 조직적인 연구개발 활동으로 인해 일어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연구개발 투자가 경제성장 또는 생산성 증가의 주요원천 중 하나라고 인식되고 있다(홍순기 외, 1991)
최근 정부는 2012년까지 GDP대비5%까지 연구개발 투자를 끌어올리기 위해 2012년까지 국가 연구개발에 66조 5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특히, 2009 년도 국가 R&D 예산배분 기본방향에 창의적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연구투자 확대, 민간의 기술역량이 우수한 분야는 민간주도로 개발하고, 정부는 핵심원천 기술개발을 중점 지원하는 등 정부와 민간의 합리적 역할분담을 통해 투자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의 대규모 투자는 연구개발의 중요성에 대해서 인식하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좁혀 앞으로의 국가개발의 기틀을 다지고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스위스 IMD에 의하면, 한국의 연구개발 투자순위는 7위인 반면에 과학기술 경쟁력은 28위로서 투자대비 기술경쟁력은 점차 하락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1997년 하반기부터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경쟁력에 대한 비판이 안팎에서 제기되었으며, R&D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경쟁력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경우, 생산성이 매우 저조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최재철, 1999).

참고 자료

김준범, 김우제, 조남욱(2008)“DEA와 AHP모형을 이용한 제조공정들 간 효율성 평가”. IE Interfaces. 21(3), p.302-311.
김용태, 권오상(2000) “한국 농업의 생산성 변화 계측 : 1971-1998 “. 농업경제연구. 41(1), p1-30.
조근태(2003)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최재철, 박종복, 김태유(1999)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연구생산성 향상을 위한 R&D 과제선정과 자원배분”. 생산성논집. 13), p177-205.
홍순기, 홍사균, 안두현(1991) “연구개발투자와 산업부문간 흐름과 직•간접적 생산성 증대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 91(12), p.152-174
Charnes, A., Cooper. W.W., & Rhodes, E. (1978) “Models for the Estimation of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 p.1078-1092.
Lee, H., Park, Y., and Choi, H., (2009) “Comparative Evaluation of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with Heterogeneous Objectives: A DEA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96, No.3, p. 847-855
Sherman, H. D. (1984). “Hospital Efficiency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dical Care. 22(10), p. 922-938.
Ranftl, Robert M.,(1978) “R&D Productivity Study Report”. Culver City. CA: Hughes Aircraft Company. 2nd. ed.
*대*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생산성 평가 추이 분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