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효*
최초 등록일
2012.03.19
최종 저작일
2012.02
7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집필된 2010 개정 교과서인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다문화관련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정 교과서에는 기존 교과서에는 수록되지 않았던 다문화사회 관련 단원이 신설되어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의 주요 개념을 추출하여 3종의 사회과 교과서에 서술된 내용과 삽화, 학생 활동을 비교․분석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고 이에 따라 만들어진 교과서가 2011학년도부터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사회과 교과서에의 반영방법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

Ⅱ. 다문화 사회와 사회과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1. 선행연구의 분석 3
2. 한국 사회의 다문화 사회화와 다문화 교육 5
1) 한국사회의 다문화 사회화의 현황과 문제점 5
2) 다문화 사회에서의 학교 다문화 교육 6
3. 사회과에서의 다문화 교육 12
1)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 교육 12
2) 사회과 교과서에서의 다문화 교육 16

Ⅲ. 다문화 교육 관련 내용 분석 18
1. 분석 대상 및 방법 18
1) 분석 범위 및 대상 18
2) 분석 기준 및 방법 19
2. 분석 결과 24
1) 다문화 교육 관련 단원 편제의 분석 24
2) 다문화 교육 관련 서술 내용의 분석 27

Ⅳ. 결론 및 제언 56

* 참고 문헌 59
* Abstract 62
* 부록

본문내용

최근 우리나라에 체류 중인 외국인과 귀화자 등 전체 외국인 주민의 수는 올해 초 조사결과에 따르면 126만 5천여 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주민등록 인구의 2.5%에 달하는 수이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로 한국사회는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로 들어온 외국인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문화적 차이, 사회적 차별대우 등으로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자리 잡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단일민족임을 자처하며 살아온 것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한국인들은 차별의식과 편견으로 그들을 수용하지 못하고 배타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결혼 이민자들의 가출, 외국인 노동자들의 일자리 잠식과 범죄 등을 이유로 다문화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대책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국제결혼을 통한 다문화 가정의 증가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입학으로 이어져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교육소외현상을 막고 일반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태도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사회과가 있다. 사회과는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사회변화를 수용하는 교과이기 때문이다. 다문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다양한 사람들이 각기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를 갖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나와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여 하나의 공동체로 발전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무엇을, 어떻게, 왜, 가르치고 학습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접근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 있는 사회과 교사조차도 다문화교육 실시 방법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새로운 문물이나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에는 지나치게 배타적이었지만 일부 선진국의 물질문명은 선호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그 이유는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문화 상대주의적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이를 교육에서 간과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일부 다민족 국가와는 다른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집필된 2010 개정 교과서인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다문화관련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정 교과서에는 기존 교과서에는 수록되지 않았던 다문화사회 관련 단원이 신설되어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의 주요 개념을 추출하여 3종의 사회과 교과서에 서술된 내용과 삽화, 학생 활동을 비교․분석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고 이에 따라 만들어진 교과서가 2011학년도부터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사회과 교과서에의 반영방법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참고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사회),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7]
김남국(2005), 심의 다문화주의:문화적 권리와 문화적 생존, 한국정치학회보, p.88.
경기도교육청 초등교육과, 다문화 교육의 이해와 실제, 다문화 이해자료 2008-54호, 2008.
김영옥(2002),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 정민사.
김용신(2008), 다문화 사회의 시민 형성논리: 문화 민주주의 접근,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김선미(2000),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김지은(2011),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사회 교과서 분석 및 개선 방안 : 고1 사회 `Ⅳ. 환경 문제와 지역 문제` 단원 중심으로, 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경화(2008), 사회과 다문화 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남수(2008),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박영미(2009), 사회과 교육에서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과제: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인현(2007), 다문화 교육에 대비하는 사회과,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논총.
박현호(2009), 제 7차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다문화 교육 내용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태열 외(2010), 고등학교 사회, 금성출판사.
양영자(2008), 한국 다문화 교육 내용선정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오은순 외(2008),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지원방안 연구: 사회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장인실(2006), 미국 다문화 교육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정성훈(2010), 중학교 1학년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에 관한 고찰,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원규 외(2010), 고등학교 사회, 천재교육.
정윤희(2007), 초등 사회과 다문화 교육의 의의,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인선(2000),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 교육 내용 분석 연구-7차 교육과정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희옥(2008), 다문화 사회문제 대응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육 내용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정진홍(2009),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대구․경북지역 중등학교 국어․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혜경(2009), 다문화 교육의 교과 통합적 운영방안: 사회과․도덕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윤정(2009), 7차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의 비판적 담화 분석: 다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채정란(1999),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생활주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병모 외(2010), 고등학교 사회, 미래엔컬처.
2010 출입국 통계연보,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http://www.immigration.go.kr).
한재은(2008), 다문화 시대의 민족주의와 사회과 교육,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Banks, J.A., Cortes,S.E., Gay,G., Garcia,R.L.,& Ochoa,A.(1992). Curriculum guidelin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rev.ed). Washington, DC: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Banks, J.A.(2001), Multicutural education: Its effects on students` racial and gender role attitudes. In J.A.Banks & C.A.M.Banks(Eds),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tural education.
Banks, C.A.M(2005), Improving multicutural education: Lessons from the inter group education movement.
Banks, J.A, 모경환 외(2010),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아카데미프레스.
Banks, J.A(2006), Cultural Diversity and Education : Foundation, Curriculum, and Teaching. Boston: Ally and Bacon, p.5.
Cuban, L.(1984), Transforming the Frog into a Prince: Effective Schools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at the District Level.
Marri, Anand R.(2003). Multicultural Democracy: toward a better democracy, International Education.
Nieto, S(2005), Public education in the twentith century and beyond: High hopes, broken promises, and uncertain future. p.43-64
Selanders, S.(1990) Towards a theory of pedagogic text analysis. p34.
Suleiman, M, F.(2004), Multicultural Education: A blueprint for educations, In G. S Goodman & K. T. critical multicultural conversation, p.9-22
*효*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