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식정보검색경험에 따른 사용용이성이 가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연구

*기*
최초 등록일
2012.05.13
최종 저작일
2011.12
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본 연구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용이성이 가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식정보검색경험에 따른 사용용이성이 가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서울・경기지역, 대구・경북지역, 부산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외식정보검색을 1회이상 경험해본 대학생 및 직장인을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주위에 스마트폰 이용자를 소개받는 방법으로 추가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1년 1월 3일부터 2월 3일까지 1개월 동안 조사되었고, 264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최종분석은 IBM SPSS 19.0과 IBM AMOS 19.0을 사용하였다.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분석결과

Ⅲ.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치열한 경쟁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측면의 환경변화도 함께 고려해야한다. 거시적 환경변화 중 가장 주목해야할 부분이 IT기술의 발전이다. 이는 사회전반의 많은 부분을 새로운 체계와 방식, 문화로 변화시키고 있다(송경재, 2010). 가장 대표적인 것이 스마트폰의 출현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카메라기능과 게임, 멀티미디어, DMB 등의 다양한 기능이 결합되어 있고, 언제어디서나 인터넷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운영체제의 웹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를 활용할 수 있다.
외식산업에서 스마트폰에 대해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이용자 때문이다. 2011년 기준으로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는 1년 동안 100배가 증가하였고, 미사용자의 경우에도 10명중 8명은 스마트폰으로 교체의사를 보였다. 국내의 스마트폰 이용자는 폭발적인 증가로 2011년 말까지 2,5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독립신문, 2011년 8월 23일). 이러한 시점에 스마트폰의 출현은 외식시장의 고객유입에 핵심적인 경영 및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외식분야에서도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다. 즉, 스마트폰의 환경에 맞도록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고객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인터넷으로 외식업체 탐색 및 위치검색 등의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머니투데이, 2011년 01월 17일). 뿐만 아니라 기존의 광고매체를 활용한 한 방향 광고가 아닌 쌍방향으로 고객이 직접 참여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업체와 고객 또는 고객들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다(머니투데이, 2010년 10월 27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외식업체와 소비자 간의 외식환경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고객과 가장 가까운 음식점을 찾아주는 지도, 할인행사, 신 메뉴 시식행사, 쿠폰 등의 다양한 프로모션 정보를 고객들에게 손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된 것이다(한국외식경제, 2010년 7월 29일).

참고 자료

김광수・원혜영(2005). 고객의 외식가치에 대한 지각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8(1), 67-85.
김경환・조용범(2010). 호텔레스토랑의 고객가치, 이용상황, 핵심혜택이 고객만족과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 특 1급호텔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외식경영연구』, 13(3), 25-42.
김상현・오상현(2002). 고객가치가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17(1), 65-92.
김영환・최수일(2009). 지각된 서비스 품질, 유용성, 용이성이 IPTV 사용자 만족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0), 314-327.
독립신문(2011년 8월 23). 당신의 스마트폰, 스마트하게 구매하셨습니까? http://www.independent.co.kr/news/article.html?no=52479
머니투데이(2010년 10월 27일). 스마트폰과 함께 등장한 외식업계新 프로모션, 트위터와 앱. http://mnb.mt.co.kr/mnbview.php?no=2010102711362618923
머니투데이(2011년 01월 17일). 스마트폰이 외식브랜드 매출을 좌우한다. http://mnb.mt.co.kr/mnbview.php?no=2011010822441895147
서창교・성석주(2004). 개인 특성이 인터넷 쇼핑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14(3), 1-22.
송경재(2010). 특집: IT기반 소통의 진화: SNS와 스마트폰이 결합된 소셜미디어. 『지역정보화』, 64(Sep./Oct.), 4-3.
이옥기(2011). 앱북에 대한 수용자의 재매개화와 사용용이성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회지』, 6(15), 99-122.
이유재(1997). 고객만족형성과정의 제품과 서비스간 차이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8(1), 101-118.
이학식․김영․정주훈(1999). 실용적/쾌락적 쇼핑가치와 쇼핑만족: 구조모델의 개발과 검정. 『경영학연구』, 28(2), 505-538.
이희숙(2006). 정보기술 수용모델 관점에서 본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이 T-commerce 이용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광현(2005). 레스토랑 속셩평가, 지각된 가격, 가치와 만족 및 재이용 의도간의 관계. 『외식경영연구』, 8(1), 27-48.
한국외식경제(2010년 7월29일). 외식업체 광고, 스마트폰으로 한다!. http://www.foodbank.co.kr/news/view.php?secIndex=23919
Anderson, E. W., Fornell, C., & Lehmann, D. R.(1994). Customer satisfaction, market share and profitability: Findings from Sweden. Journal of Marketing, 58(3), 53-66.
Babin, B. J., Darden, W. R., & Mitch, G.(1994). Work and 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4), 644-656.
Blodgett, J. G., Granbois, D. H., & Walters, R. G.(1993). The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on complainants` negative word-of-mouth behavior and repatronage intentions. Journal of Retailing, 69(4), 399-428.
Broekhuizen, T. L. J. & Jager, W.(2003). A conceptual model of channel choice: Measuring online and offline shopping value perceptions. working paper, University of Groningen, 1-32.
Colwell, R. S., Kanetkar, A. V., & Holden, A. L.(2008). Toward a measure of service convenience: Multiple-item scale development and empirical test.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22(2), 160-169.
Collier, J. E. & Sherrell, D. L.(2009). Examining the influence of control and convenience in a self-service setting. Journal of Academy Marketing Science, 38(4), 490-509.
Davis, F. D.(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Fishbein, M. & Ajzen, I.(1975). Beliefs,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tion Wesley.
Kotler, P.(2003). Marketing Management 11th.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rentice-Hall.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2nd Ed.). New York, McGraw Hill.
Oliver, R. L.(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 460-469.
Richins, M. L., & Dawson, S.(1992). Materialism as a consumer value: Measu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4), 303-316.
Seiders, K., Voss, G. B., Godfrey, A. L., & Grewal, D.(2006). SERVC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service convenience scale. Journal of the Academy Marketing Science, 35(1), 144-156.
Zeithaml, V. A.(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Zeithaml, V. A., & Bitner M. J.(1996). Services Marketing. New York, NY: McGraw-Hill, 8.
*기*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외식정보검색경험에 따른 사용용이성이 가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