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논문] 교체 가능한 조합의 미래지향적 디자인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저 엔트로피 건축을 중심으로

*용*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2.11.15
최종 저작일
2006.03
8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1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All creature of earth exists according to law of nature. And, only human adapts regulating and changing in environment by force of scientific technique. Human being`s egocentric state of mind has begun to destroy the ecosystem gradually and rapidly And, in the 1970s, crisis of nature ecosystem that began to become an issue in Western civilization society was not limited in advanced nation that is going first on early simply.
Human survival against crisis of ecosystem had become serious problem. And, In spite of dreaming Utopia, Human being as an inseperatable part of mother earth, has to deal with the crisis of ecosystem such as pollution of ecosystem, exhaustion of resources, and human`s alienation and came over by the 21th century ago gradually.

Nowaday, human beings adapt and change nature and environment artificially and at the sam time, intend to return to the mother nature And, cognition about crisis situation started in technic literary fame that frustrate human work environment and basic desire of human and hope that infringe upon nature environment by dualistic thinking, Nature recognized to be human`s one part that by spread gradually through ecological paradigm today in mechanical paradigm.

목차

*국문 초록
*ABSTRACT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1.3 연구의 흐름도 4
1.4 용어의 정의 5


제 2 장 패러다임 변화의 배경과 전개 8
2.1 사회적 배경 - 현대사회의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 8
2.1.1 인간중심적 세계관의 모순과 비판 8
2.1.2 패러다임의 변화 9

2.2 건축적 적용 배경 14
2.2.1 Vernacular Design 14
2.2.2 근대건축 이후 전개 양상 15

2.3 소 결 : 건축적 전개배경에 따른 생태학적 디자인의 의미 27


제 3 장 미래주의적 디자인의 표현경향 28
3.1 전체적 통일성 28
3.1.1 형태적 표현 28
⑴ 유기체 구조의 의도적 유추 28
⑵ 삽입된 오브제의 표상적 일체화 30
⑶ 오브제 형상의 자연화 31

3.1.2 공간적 표현 32
⑴ 위계적 질서에 의한 공간구성 32
⑵ 유리면을 통한 투명성과 반사성 34
⑶ 주변과의 색채적 조화 35

3.2 유기적 구성의 다양성 38
3.2.1 대지에 대응하는 방식 38
⑴ 지형의 역동적 흐름에 순응 38
⑵ 지형의 선적 질서에 대응 39

3.2.2 오브제의 시각적 다양화 41
⑴ 여러 켜(_badtags)에 의한 공간구성 41

3.3 진화와 성장 44
3.3.1 유기체의 직설적 도입 44
⑴ Vertical Landscaping (수직적 성장) 44
⑵ 식생의 도입에 의한 수평적 성장 46
3.3.2 건축의 유기체화 47
⑴ 건축물의 생애주기에 따른 성장 47
⑵ 완결을 지향하는 미완적 형태구성 49

3.4 소 결 51


제 4 장 이론적 고찰을 통한 디자인 실험 53
4.1 Design Process 53
4.1.1 Universal Design 53
4.1.2 Digital Nomad (디지털 유목민) 54
4.1.3 가족구성원의 변화 55
4.1.4 Changes of Spatial Composition (Digital Society) 55
4.1.5 Case Studies 56

4.2 Design Strategies 59
4.2.1 Nature & Structure relationship 59
4.2.2 Design Strategies 59
4.2.3 Changes of variety wall 60
4.2.4 Use of Time 61
4.2.5 Share Program 62

4.3 Design 63
4.3.1 Unit Combination 63
4.3.2 Modeling 63
4.3.3 Unit Composition 64
4.3.4 Drawing (Inner View) 64
4.3.5 Drawing (Site Plan, Section) 65
4.3.6 Drawing (Elevation) 65
4.3.7 Drawing (Perspective) 66
4.3.8 Drawing (Inner View) 66
4.3.9 Panel 67


* 참고 문헌 68

* 감사의 글 70

본문내용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자연의 법칙에 따라 생존한다. 그리고 오직 인간만 이 과학 기술의 힘에 의해 자연을 변형하며 조절하여 환경에 적응하게 된다.
이러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이기심은 점차 생태계의 파괴로 이어졌으며, 1970년대 서구 사회에서 문제되기 시작한 자연 생태계의 위기는 단순히 초기에 앞서만 가던 선진국에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점차 생태계의 위기는 전 인류의 생존이 달린 심각한 문제가 되어버렸고, 유토피아적인 미래를 꿈꾸던 인간의 이상향 대신에 자연의 오염, 자원의 고갈, 인간의 소외화 등의 문제
를 안고 21세기로 넘어왔다.
오늘날의 인류는 어찌할 수 없는 현실에 인위적으로 적응하며, 자연환경으로의 복귀를 지향하고 있으며, 위기상황에 대한 인식은 자연환경을 유린한 인공환경과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와 희망을 좌절시킨 과학기술 문명에서 비롯하였다. 인간 대 자연이라는 이원론적 사고는 기계주의적 패러다임에서 오늘날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 점차 전개되면서 자연이 인간의 일부분으로 인
식되었다. 이러한 점은 모든 영역간의 상호관계성과 의존성(依存性) 그리고 가변성을 수용하는 모더니즘 이후의 다원주의적 태도와 병행하는 것으로 새로운 철학적 물리학적 사상과 함께하며, 새로운 세계관에 기초한 신과학 운동을 추구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체계는 전일론적(Holistic Worldview) 세계관을 유도하여 부분과 전체가 분리될 수 없는 유기적이며 상보적인 ‘하나’로 보았다.

인류가 직면한 자연환경의 위기에 대한 해결책으로 미래지향적 세계관은 지구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하나의 생명체로 이해하며, 자연을 단순히 정복대상으로 생각하지 않고, 인류의 근원적인 모체이며 조화를 찾기 위한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다. 즉, 인간과 자연의 중간자적인 역할로서의 디자인의 영역과 방법론이 모색되어야 하며, 인류의 참다운 발전은 자연과의 지속적인
공존이며,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문화를 이룩하는 방향을 찾는 것이다.

현대 건축이 과거의 기계론적 패러다임에서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개되면서 인간과 자연환경 그리고 건축의 삼각관계에서 디자인 사고체계에 대한 새로운 방법의 틀을 제시되어야 하며, 이러한 디자인의 틀을 통해서만이 인간과 자연 그리고 건축이 상호공존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외국문헌
SIM Vander Ryn and Stuart Cowan, Ecological Design, Washinton, D.C,
Island Press, 1996
Kevin Lynch, Site Planning, 2ed, The M.I.T. Press, Cambridge,
Messachusetts and London, English
Ken Yeang, Design with Nature, N.Y Magrawhill Inc, 1995
W.D. Billings, Main and The Ecosystem, Wadworth California

국내문헌
김자경, Architecture with Natural Environment, 2004
강준모, 흙과 통나무로 짓는 생태건축, 발언, 2000
권영걸, 공간디자인 16호, 2001
김병윤, 진경돈, 현대건축과 생물학의 대화, Spacetime, 2000
구승회, 생태철학과 환경윤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김태창, 인간, 과학, 기술, 생태주의, 나남, 1987
박이문, 더불어 사는 인간과 자연, 마이다스북스, 2001
박이문, 문명의 위기와 문화의 전환, 민음사, 1996
심우갑, 조희철, 서양건축사, 아키그램, 2000
신병윤, 경계없는 형태와 공간을 향하여, Spacetime, 2002
이규인, 유럽의 친환경주택, 발언, 1993
이병종,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모색, 디자인네트, 1999
이연숙, Future Space & Design - 21st Paradigm for Built Environment
Culture & House Welfare, 2005
이연숙, Coming Future, Responding Houses of the World, 2005
이필렬외 공저, 교양환경론, 도서출판 님, 1996
전채휘, 자연환경 건축 디자인, 기문당, 1996

국내연구논문
권현아,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표면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석론, 2003
김은희, 생태학적 접근에 따른 건축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론, 2001
남순화, 생태학적 접근에 의한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경성대 석론, 2000
박연정, 현대 미니멀 건축의 지각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론, 2003
박진옥, 생태건축에서 사용한 설계 기법이 건축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북대석론, 2002
박정식, 흙 건축의 생태적 의미와 현대적 이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석론, 2000
이규인, 환경건축의 새로운 패러다임 : 지속가능한 발전, 대한건축학회 창립 5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발표집
이근택, 유기적 건축에서의 디자인 원리에 관한 유형분석, 영남대박론, 1993
유선철, A Study on the Space and Planning Requirements of the Ubiquitous
Urban Environment, 인하대석론, 2005
정진주, 환경친화적 건축의 개념과 현대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석론, 1996
조선희, Eco-Design원리의 고찰과 환경디자인 적용사례연구, 이대석론, 1997

정기간행물
김현수, 생태건축 특집, 건축세계9510
김현수, 환경보전을 고려한 생태적 주거 건축의 실현, 건축가9604
김태웅,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한 체계적 접근, 건축가9508
고주석, 형태주의 건축의 원천과 한계점, 공간9101
고주석, 건축에 있어서의 경제성과 예술성, 공간9108
신병윤, 건축에 있어서 유기적 사고(연재), 이상건축, 0001-0012
양병이, 지속가능한 설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논집 제 33권, 1995
이경회, 환경보전과 건축디자인, 건축사9408
양병이 외, 생태, 도시 그리고 건축(특집), 건축9712
이대일, 기능주의적 디자인을 비판한다., 월간디자인 1998

Internet
과학재단 생태주거건물 연구회 http://www.ecotry.com
건설 연구 정보 센터 http://www.cric.or.kr
환경전문포털사이트 http://www.evironet.co.kr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http://www.kieae.org
환경디자인 연구원 리드 http://www.leed.co.kr
*용*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논문] 교체 가능한 조합의 미래지향적 디자인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저 엔트로피 건축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