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글로벌 스탠더드에 기반한 서울시 환경정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지*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2.12.19
최종 저작일
2012.11
3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공모전에 응모했던 작품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2. 연구방법 및 연구구성 2

Ⅱ. 이론적 고찰 3
1. 세계화와 환경문제 3
2. 국제환경레짐 4
3. 환경정책과 글로벌 스탠다드 5

Ⅲ. 서울시와 관련된 국제환경레짐 동향 7
1. 국제환경협약 7
2. 국제환경기구 8
3. 국제환경회의 10
4. 국제환경협력 12

Ⅳ. 선진 외국도시 사례 분석 13
1. 미국 포틀랜드 시의 이산화탄소 배출저감 전략 14
2. 동경도의 지구환경보전계획 15
3. 키타큐슈 시의 국제환경협력 16

Ⅴ. 글로벌 스탠더드에 기반한 서울시 환경정책의 발전방향 17
1. 정책기조 17
2. 정책형성 및 정당성 확보 19
3. 정책집행 및 평가 20

Ⅵ. 결론 23
1. 연구 요약 23
2.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25

【참고문헌】 26

본문내용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환경정책에 여러 측면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국제환경레짐의 최근 동향과 선진 외국도시 사례를 분석한 후, 환경정책 분야의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추어 서울시가 환경정책적 측면에서 대응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세계화 과정 속에서 지구환경문제가 심각해지는 한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규범 내지 원칙들이 변하고 있다.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규범을 국제환경레짐이라고 할 수 있는데 국제환경레짐의 변화는 환경정책 분야에 있어 글로벌 스탠더드로 그 모습을 드러낸다.

서울시와 관련된 국제환경레짐의 동향을 국제환경협약, 국제환경기구, 국제환경회의, 국제환경협력 4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환경협약측면에서 서울시는 기후변화협약, 오존층 파괴물질에 대한 몬트리올 의정서, 생물다양성협약,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바젤 협약, 람사협약, 사막화방지협약, 로테르담협약, 스톡홀름협약 등과 관련한 국제환경레짐 변화를 예의주시해야 한다. 둘째, 국제환경기구측면에서 환경관련 각종 유엔기구, APEC 및 ASEM, TEMM 등 지역기구, 기타 OECD, WTO, ICLEI 등 주요관련기구의 동향도 파악해야 한다. 셋째, 국제환경회의측면에서는 WSSD 회의결과가 서울시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장기적으로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의, 동북아환경협력회의 및 동북아 환경협력고위급회의 등의 국가차원의 국제환경회의에도 서울시는 계속 관심을 두어야 한다. 넷째, 국제환경협력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국가, 북미 및 유럽국가와 다양한 국제환경협력사업을 펼치고 있다. 서울시는 국가차원의 국제환경협력활동을 파악하는 한편 다른 나라 지방자치단체와의 국제환경협력을 위해서도 노력해야 한다.

<중 략>

1. 세계화와 환경문제

1990년대 후반 이후 세계화와 환경의 관계에 대한 학술적 연구들이 있어왔지만, 세계화와 환경정책간의 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대체적으로 환경론자들은 세계화에 부정적이다. 한국공간환경학회 생태환경분과와 한국도시연구소는 환경연구부(2002)는 세계화의 그늘 속에서 빈곤이 심화되고 환경이 파괴되며 지역이 종속화되고 있음을 비판하고 있다. 인도의 환경운동가 반다나 시바(2003)는 식량 제국주의 위험을 경고하고 있고, 헬레나 노르베리-호지/ISEC(2002)는 세계화의 질곡 속에서 풀뿌리공동체가 파괴되고 잇음을 비판하고 있다. 무한한 경제성장ㅌ과 국경 없는 자유무역의 조급증 논리에 사로잡힌 정부들이 무소부재의 세계화 경제를 만들기 위해 지역 및 국가경제 사이의 장벽을 계획적으로 없애는 과정에서 작은 것과 지방적인 것들은 사라지고 이것이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관호, 「세계화와 글로벌 경제」, 서울 : 생각의 나무, 2000
김두식, “세계화과정에서의 사회발전과 환경문제”,「사회과학연구」, 제4집 제2호, p.289~303, 1997
김병완, “지방분권의 녹색화 구상”, 「환경과 생명」, 2003 .
김홍균, “국제환경규제동향과 대응방안”, 서강대학교 경제학 연구원, 「서강경제논 집」, 29집 1호, 2000
박순열, “지구환경정치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p123~161, 2003
백봉종, “국제환경레짐과 오존층 보호(협약)”, 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 제13권, 1999
엄태석, “세계화시대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 14집, 2001
오경택, “지구온난화 레짐형성에 관한 미국의 정책결정과정 연구-환경운동단체와 업계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33집2호, 1999
윤영관・이근, 「세계화와 한국의 과제」, 서울 : 한울, 2003
윤창인 외, “선진국 주요 환경조치가 한국의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 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
이재협, “국제환경협력의 이행 및 준수체제에 대한 소고-이론과 실제적 적용”, 한국 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 22집, 2000
이종원, “레짐이론의 발전과 과제”, 고려대학교 정부과학연구소, 「정부학연구」, 5권2 호, 1999
전형권, “환경문제의 세계화와 정치적 성격”, 「한국동북아논총」, 제13집, p.73~93, 1999
정구현, 「글로벌화와 한국경제의 선택」, 서울 : 자유기업원, 2002
정영근, “WSSD 이후 한국의 과제 : 한국의 지속가능성 확보 전략”, 녹색연합,「한 국환경보고서 2002~2003」, 서울 : 녹색사회연구소, 2003
정회성,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세계화의 영향”,「국토와 환경」, 서울 : 한울 아 카데미, 2002
정회성・변병설, 「환경정책의 이해」, 서울 : 박영사, 2003
천정웅, 「지구환경레짐의 정치경제학」, 서울 : 한울, 1995
한면회, “세계화시대의 환경정의”, 「인문과학」, 제32집, p239~257, 2002
허영도, “기업지배구조의 국제적 추세와 글로벌 스탠다드”, 「경영학연구논문집」, 제7권 2호, p45~65, 2000
황의서, “세계화와 환경의제~정치학적 관점”, 「개발논총」, 제8집, p115~134, 1999

Andresen, Streinar, 「Science and politic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s -Between integrity and involvement」,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Elkington, J. "The Third Wave", 「Tomorrow」, vol.9, no. 6, Dec. p40~42, 1999
Keohane, R. O.,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State Power : Essay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Boulder, Colorado : Westview Press, 1990
Miles, Edward L., 「Environmental Regime Effectiveness - Confronting Theory with Evidence」, Cambridge, Massachusetts : The MIT Press, 2002
Mitchell, Ronald B., "A Quantitative Apporach to Evaluating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s",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vol. 2, no. 4, November 2002
Porter, G. and J. W. Brown.,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San Francisco : Westview Press, 1991
Porrtney, Paul, "Environmental Problems and Policy : 2000~2050",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 14, no. 1, winter p199~206, 2000
Raines, Susan S, "Perceptions of Legitimacy and Efficacy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Standards : The Impact of the Paticipation Gap", 「GlobalEnvironmental Politics」, Aug. p47~73, 2003
Young, Oran R. ed.,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s -Causal Connections and Behavioural Mechanisms」, Cambridge, Massachusetts : The MIT Press, 1999
Young, Oran R. ed., 「Global Governance - Drawing Insights from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Cambridge, Massachusetts : The MIT Press, 1997
Underdal, Arild, "Science and Politics : the anotomy of an uneasy partnership", in Steinar Andresen et. al., 「Science and politic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s」, Manchester :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Wettestad, Joergen, 「Designing Effective Environmental Regimes - The Key Conditions」, Cheltenham, UK : Edward Elgar, 1999
*지*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글로벌 스탠더드에 기반한 서울시 환경정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