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성인여성의 요가 참여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융*
최초 등록일
2013.09.27
최종 저작일
2012.08
8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문제
3. 연구의 제한점
4.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요가의 개요
2. 성인여성의 특성
3. 심리적 행복감
4. 생활 만족도에 개념
5.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조사절차
4. 통계처리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의 차이
2.요가 수련참가정도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의 차이
3.요가 수련참여 성인여성의 심리적 행복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은 궁극적으로 행복 추구와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을 인생의 목표로 삼는다. 그리스시대 이래 많은 철학자들이 인간행위의 궁극적인 동기는 행복의 추구라고 여겨왔으며 모든 국가나 사회 역시 구성원 개개인의 안녕 또는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조력해왔다고 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최근 들어 물질적 가치나 명예를 얻기 위해 달려가는 것보다 신체와 정신의 건강함을 행복의 척도로 삼게 되었고, 인간이 끊임없이 추구하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은 현대시대에 있어서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신정희, 2011:138). 이른바 2003년부터 우리나라 전반에 웰빙 붐이 고조되었으며 이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안정으로 자신의 건강을 고려하게 되고, 가치관이 변화하면서 생긴 현상이라 볼 수 있다.
웰빙(well-being)이란 복지, 안녕, 행복을 뜻하는 것으로 웰빙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육체적으로 질병이 없는 건강한 상태뿐 아니라, 직장이나 공동체에서 느끼는 소속감이나 성취감의 정도, 여가생활이나 가족관의 유대, 심리적 안정 등 다양한 요소들을 웰빙의 척도로 삼는다. 몸과 마음, 일과 휴식, 가정과 사회, 자신과 공동체 등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루어 다른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상태가 웰빙이다(두산백과사전:103).
웰빙 현상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운동으로 신체의 유기적 발달, 정신운동의 발달, 인격의 발달 등 신체활동을 주체적으로 하는 요가는 이러한 심신의 안녕과 행복을 추구하는 움직임으로써 내적 경험을 강조하는 것이다.
요가의 수행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크게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라자요가와 육체적 생리적 측면을 강조하는 하타요가로 구분되고 있다(서희진, 정인화,2007:764).
라자요가는 정신적 수련을 중요시하는 형태의 요가수행법으로 명상을 통한 심신의 정화를 강조하며 해탈의 경지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요가이며, 하타 요가는 요가의 동작을 호흡과 일치시켜 수행하는 형태의 요가로서 육체적인 수행을 하는 과정에서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며, 심신의 정화가 이루어짐을 강조하는 요가를 지칭한다(정인화, 2005:260).
현대인들의 잘못된 생활습관과 자세, 직업에 따른 특정 국소부위의 지나친 사용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체적 불편함과 통증을 유발하고 시력저하, 무력감, 피로감, 스트레스, 집중력 저하 등 신체적, 심리적 현상을 다양하게 초래한다.
요가는 현재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서 이러한 현대병을 치유하는 대체요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것은 요가의 수행체계가 인체의 해부학적 기초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요가는 어느 한 가지 체위법 또는 적절한 호흡조절만 가지고도 많은 육체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양성민, 2005:10).

참고 자료

강여주, 윤여택(2003), “요가 수행자들의 수행의미와 수행경험에 대한 분석”, 체육 연구논문집. 2003, 제 10권, pp.1-17,
강현숙, 김백윤, 박미진, 신영호(2005), “태극권 수련이 중년여성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5, 제16권 2호, 통권 89호.
공혜원(2007), “요가수련 참가자의 참여 동기, 몰입경험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기주(1998), “삼천요가 집단훈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신체, 마음, 의식에 미치 는효과”, 미간행,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민현(1998), “강도별 운동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37호, pp.142~150.
김수복(1999), “요가 동작시 뇌파파형에 관한연구”, 미간행,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소연(2006), “대학생의 스포트 활동 참여 동기, 심리적 웰빙 및 행동의도간의 관계분석”, 미간행,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김영숙(2004), “요가 체조 수행이 중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영남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호(2007), “기혼여성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 미간행, 서울 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김옥수(1993),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미간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현수(2003), 요가, 서울: 삼호미디어.
김현수(2004), 임산부를 위한 무통분만 요가, 서울: 이지앤출판사.
구경원(1997), “중년여성의 무용프로그램 참여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나지성(2010), “요가수련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경원 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두산백과사전, 103~105.
민경화(2006), “요가수련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성신여자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박찬민(2004), “요가프로그램 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참여 동기-하타 요가를 중심으로”, 미간행,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배상희(2005), “하타요가 수련이 노인의 여가만족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 간행,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백혜경(2007), “스쿠버 다이빙 참여자들의 참여정도, 애호도 및 심리적 웰빙간의 관계”, 미간행,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희진, 정인화(2007), “요가참여 여성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수련정도, 건 강개념및 신체상 지각의 차이”,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9호, pp.763~772.
서미희(2003), “요가 니드라 프로그램이 약물남용 환자의 불안완화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정희(2011), “요가 프로그램이 무용전공 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미친 영 향”, 한국무용 교육학회지, 한국무용교육학회, 제22집, 2호 통권 제37호, PP.138.
안중기(2000), “요가 수행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양명환(1998), “신체활동과 심리적 행복감: 인지적-정서적 상태 측정지 개발”, 한 국 스포츠심리학회지, 9(2), 113-123.
양명환(1998), “여가 스포츠의 활동 애호도와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 체 육학회지 제37호, pp.433~444.
양명환(2004), “스포츠맨십성향, 운동태도 및 성격 특성간의 관계 분석”, 한국체 육교육학회지, 8(3), 69-91.
양성민(2005), “요가아싸나가 여성의 체력과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원 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원유병(1998), “中年女性의 生活體育 參與經驗이 精神健康에 미치는 影響”, 미간행, 成均館 大學校 大學院: 體育學科, 박사학위 논문.
원주연(2000), “REBT 프로그램이 경쟁불안, 스포트자신감 및 경쟁지향성에 미치 는 영향”, 미간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오문환(1995), 아난다마르가요가, 서울: 책이 있는 풍경.
오은정(2009), “요가수련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유진(1997), 스포츠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윤민용(2007, 11.23), 긍정적 몰입이 행복의 원천, 경향신문.
윤병민(2008), “고등학교 볼링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자신감과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윤재원(2005), “무용 활동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미간행,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 간행 석사학위 논문.
윤 진(1985),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 삼호미디어.
이경혜(1996), “만성요통 완화를 위한 요가 운동의 효과”, 미간행, 경희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이경화(2004), “성인여성의 한국무용 참여와 정신건강의 관계”, 미간행,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동현(2004), “Mass-marathoner의 참가동기와 인지-정서적 경험 관계”, 미간행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미숙(2002), “지체부자유인의 삶의 질 수준 및 영향요인”, 미간행, 부산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이민규(2001), “청소년 사회봉사할동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명지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이상진(2005), “하타요가 수련이 중년여성의 심신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한남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서연(2008), “댄스 스포츠 參與者의 身體 이미지와 心理的 安寧感 및 自我實現 의 關係”, 미간행,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연경(2004), “하타 요가 수행이 성인여성의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미간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윤주(2002), “신체적 자기개념에 따른 자긍심,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관 계”, 미간행,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주경(2004), “아사나 중심의 요가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 심신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태영(1995), 초월의 길 해탈의 길, 서울: 민족사.
이태영(2000), 요가, 서울: 출판사여래.
이현정(2008), “일반계 고등학생의 긍정적 정서, 몰입, 삶의 의미가 행복감에 미 치는 영향”, 미간행,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효재·지순·박민자(1979), “한국 저소득층 노인생활에 관한 사회경제 및 공간문 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34집. pp. 239-288.
임수현(1996), “요가의 심리 치료 효과”, 미간행,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소영(2004), “요가수련이 현대인의 심신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대전대학교 보건 스포츠 대학원, 레저스포츠학과, 석사학위 논문.
전종옥, 박재호, 신세균, 윤태, 김진한(2003), “老人들의 生活體育參加가 健康體力 과 幸福感에 미치는 影響”, 미간행,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인화(2005), “여성의 요가 참여기간에 다른 신체만족도”, 한국스포츠리서 치, 16(1), pp. 259~264.
조옥성(2006), “하타요가를 수련하는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와의 관 계”, 미간행, 우석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차영선(1971), 인체생리학, 서울 : 대한간호협회.
최보영(2007), “요가수련의 몰입경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미간행, 성신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란주(2009), “성인여성의 요가 수련이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현은선(2008), “직업군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미 간행, 한신대학교 스포츠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B. K. S 아헹가(2007), 요가 디피카, 대구, 선요가.
Biddle, Jeff E, U. M. I.,(1985), Empirical investigations of life-cycle labor supply models
Campbell, A, Converse, P. E. and Ro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Csikszentmihalyi, M.(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Diener, E., Emmons, R., Larsen, R.,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Dubos, R.(1976), The state of Health and Qualty of Lif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25, 8-9.
Freeman.(1987), The Van Nest killings and the trial of William Freeman: Insanity, politics, and race in Antebellum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265 p.
Folkin, C. H & Sime, W. E. (1981), Physical fitness training and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iogist, 36 (4) , pp.373-389.
Fox, K. R.(1997), The physical self : From Motivation to Well-being.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pp. 111-139.
Heilbronn, F. S.(1992), The Use of Hatha Yoga as a Strategy For Coping With S tress in Management Development Management Learning 23: 87.
Rosenberg. M.(1973), Which significant others?, American Behavior Scientist, 16, 829-860.
Lewis, F. M.(1982), Experienced Personal and Quality of Life in Late-Stage Cancer Patients. Nursing Research, 31(2), 113-119.
Marsh, H. W. & Shavelson, R.(1985), Self-concept: Its multifaceted, hierarchical structure. Educational Psychologist, 20, pp. 107-125.
McDowell, I & Newell, C. (1987),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Measuring Healthn :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stionnaire.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03-224.
McNair, D., Lorr, M., & Droppleman, L.(1992), Manual for the porfile of mood states. SanDiego, CA: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Medly, M. L.(1976),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65years and Older. Journal of Gerontology, Vol. 4, pp. 448-449.
Naga V. M, PJ, Janakiramaiah, N., Gangadhar, BN, Subbakrishna, DK(1998), P300 Amplitude and Antidepressant Response to Sudarshan Kriya Yoga (SK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50(1):pp. 45-48.
Nathaniels(1984), Yoga for all. Nursing Times, Jan. pp. 52-54.
Padilla, G.V., & Grant, M.M.(1985), Quality of Life as a cancer outcome variable. American Nursing S. 8, 45-47.
palmore, E. & Luikart, C(1972). Health and social factor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Health and Behavior, 13, 68-80.
Pirisi A.(2001), Take a deep breath. Yoga Journal. Jan-Feb. SparroweL.
Sachs, M. L.(1980),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IN, Silra (1984), Psychological Foundation of Sport, IL, Human Kinetics Publishers, 435-444.
Sonstroem, R. J. & Harlow, L. L. & Josephs, L.(1994), Exercise and self-esteem: Validity of model expansion and exercise associations.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6, pp29-42.
Spreitzer, E. & Snyder, E. E(1974),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Aged. Journal of Gerontology 29: pp.454-548.
Stuart(1983), Patriarchalism in late Stuart political argument (Sir Robert Filmer, England). The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 315 p.
Tobin, S. and B. Neugarten.(1961),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in the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16(October), pp. :344-346.
V. Mandlik, J. Sohoni and R. Varkhede(1994), Effect of yoga training package on heart patients. Yoga Vidya Dham, kaivalya nagari, Nashik (INDIA).
Wagner, R.A. (1998), Hatha Yoga for. individuals in Alcoholism Reovery. Massachusetts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Degree: PSYD.
Wood, C.(1993), Mood changes and perceptions of vituality:,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relaxation, visualization and yoga.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86,pp. 254-258.
Young, K. J., & Longman, A. J.(1983), Quality of Life and person with
melanoma : A pilot study. Cancer Nursing, 6, 219-225.
*융*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성인여성의 요가 참여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