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졸업논문] 레닌과 스탈린의 연속성

*성*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3.10.16
최종 저작일
2010.05
4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서론

2.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3.스탈린주의에 대한 연구경향

4.레닌주의
가. 전위당과 조직운영의 원리에 관하여
나. 민족문제에 관하여

5.스탈린주의
가. 권위주의적 체제에 관해서
나. 민족문제에 관하여

6.맺음말

본문내용

프란시스코 후쿠야마가 역사의 종언을 고한지도, 벌써 10년이 지났다. 물론 그의 주장은 그 이후 많은 비판을 받았고, 그의 말대로 역사의 변증법적인 발전이 끝났다는 것은, 지난 10년간의 인류사의 치열함을 생각해본다면 받아들이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역사의 종언’발언이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은, 인류의 현대사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시대의 폐막을 상징하는 발언으로써 의미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의 발언이 아직까지도 생생하게 회자되는 것은 그의 주장의 이론적인 가치 때문이라기보다는, 현대를 살아가는 인류에게 깊이 각인되어 있는 이데올로기 시대의 종언을 고한 강열한 상징적인 사건이기 때문일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의 주장은 그 주장의 합리성의 결여에도 불구하고, 명백히 한시대가 끝나고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선언한 상징적인 사건이었고, 이것만큼 틀림없는 사실이었다.
현대사의 상징이 이데올로기이며, 현대사를 이끌어가는 핵심적인 동력이 자본과 민주주의라고 보았을 때 현대사에서 가장 결정적인 사건은 1917년 10월의 볼셰비키혁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사건은 근대사의 가장 결정적인 두 사건이었던 프랑스 혁명과 영국의 산업혁명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근대와 현대를 연계해서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사건이다. 이 근대사의 핵심적인 두 사건은 곳 현대사의 핵심 키워드인 자본과 민주주의와 밀착된 관계에 있으며, 볼셰비키혁명은 그 두 가지 핵심키워드가 결합되어 나타난 결정적인 사건이다. 다시 말해서 근대에 뿌리를 두고 발전해온 자본과 민주주의는 곳 상호간의 모순이 있음이 드러나며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하지만 그것을 만족스럽게 해결하지 못하였다. 볼셰비키혁명은 이러한 모순적인 상황을 혁명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포함하여 단호히 일소하고자 하는 시도였던 것이다.

참고 자료

김학준, 러시아 혁명사(문학과 혁명사, 1990)
이준구, 레닌을 이겨야 나라가 산다,(글나래, 2007)
조정남, 러시아 민족주의 연구(고려대학교 출판부, 1996)
한국우크라이나학회, 우크라이나의 이해(써네스트, 2009)
Budgen, Sebastian (EDT), Lenin Reloaded: Towards a politics of truthm(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2007) 이현우, 정병선 옮김 『레닌 재장전』마티, 2010
Eric Hobsbawm, Age of Extremes : the short twentieth century(Vintage Books, 1994) 이용우 옮김, 『극단의 시대 : 20세기 역사』, 까치, 1997
Gorbachev, Mikhail, Perestroika: New Thinking for Our Country and the World(Harper Row, 1988) 하용출 옮김 페레스트로이카, 하용출 옮김, 『페레스트로이카』,사계절, 1988
John M. Thompson, A Vision Unfulfilled: Russia and the Soviet Union in the Twentieth Century(D.C Health and Company, 1996) 김남섭 옮김, 『20세기 러시아 현대사』, 사회평론, 2004
L.N Suvorov, Marxist Philosophy at the lenist Stage(Progress Publishers, 1982) 유명훈 옮김, 『레닌주의의 재해석』, 세계, 1988, p167
Leon Trotsky, The Revolution Betrayed.(Pathfinder Press, 1972) 김성훈 옮김, 『배반당한 혁명』, 갈무리, 1995, p200
Marcel Liebman, Leninism Under Lenin (Merlin Press, 1973), 정민규 옮김, 『레닌의 혁명적 사회주의』,풀무질, 2007
Michael Howard Wm, Roger Louis ed, The Oxford History of the Thwentieth Century(Oxford University Press, 1998).차하순 옮김 『20세기의 역사』, 이산, 2001
Robert J.C Young, Postcolonialism: An Historical Introduction(Blackwell, 2001) 김택현 옮김, 『포스트식민주의 또는 트리컨티넨탈리즘』, 박종철출판사, 2005
Sheila Fitzpatrick, The Russian Revolution(Oxford University Press, 1982) 김부기 옮김, 『러시아 혁명』, 대왕사, 1990
Slavoj i ek, Revolution at the Gates: i ek on Lenin, the 1917 Writings(Verso, 2002) 정영목 옮김, 『지젝이 만난 레닌』교양인, 2008,
Voslensky, Michael, La Nomenklatura(Belfond, 1980) 홍순호 옮김, 『노멘클라투라』평민사, 1981
곽석영, (1999) 레닌이즘의 러시아적 전통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재경, (1992) 스탈린주의에 관한 연구. 동서문화연구 3(92.11). p.55
고명수, (2008) 북한 스탈린주의의 특성과 함의: 1950년대의 북한체제. 성균관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민경현, (2008) 쉴라 피츠패트릭, 일상사 연구로 러시아 역사학의 지평을 넓히다. 역사비평 84호(2008년 가을)
박원용, (2002). 사회주의 붕괴 이후 스탈린주의 해석의 동향.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제16집.
백은진. (2004). 피츠패트릭의 스탈린주의 연구 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 대학교
송준서, (2008). 제 2차세계대전 이후 스탈린 정권의 소비에트 정체성 재정립 노력, 서양사론 99호
이종훈, (2008). 스탈린주의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과 사회사적 접근. 평화연구 제33집
이해영, (1991). 스탈린주의는 레닌주의의 배반인가. 역사비평 12호(91.2)
윤해수, (1995) 스탈린이즘의 새로운 해석; 레닌이 즘을 중심으로. 러시아연구 제3호
정명섭. (2004). 소련의 민족문제와 연방붕괴. 석사학위논문, 국방대 안전보장 대학원
최민호, (2004) 스탈린주의에 대한 트로츠키의 비판적 사고, 석사학위논문,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
침헌용. (2001). 소비에트 민족정책에 대한 재평가: 과도기 러시아 연방에 대한 시사점. 중소연구 88(2001.2).
한정숙. (2005). 레닌의 사상적 변천: 인민주의 비판에서 볼셰비즘 형성으로. 마르크스주의 연구 제2권 제1호 (2005년 5월)
*성*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졸업논문]  레닌과 스탈린의 연속성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