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리튬이차전지용 Ni-rich 양극활물질 합성

*일*
최초 등록일
2013.12.08
최종 저작일
2011.08
5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서론
1-1. 리튬이온전지
1-2. 리튬이온전지 양극재료

2. 연구배경 및 이론
2-1. 전지의 분류
2-2. 2차전지의 종류와 특성비교
2-2-1. 납축전지
2-2-2. 니켈카드뮴(Ni-Cd)전지
2-2-3. 니켈수소(Ni-MH)전지
2-2-4. 리튬이온전지
2-2-5. 리튬폴리머전지
2-3. 리튬이온이차전지 원리
2-3-1. 리튬이온이차전지의 구성요소
가. 양극(Cathode)
나. 음극(Anode)
다. 격리막(Separator)
라. 전해액(Electrolytic solution)
마. 집전체(Current Collector)
2-3-2. 전지의 작동원리
2-4. 양극재료 LiCoO2 / LiNiCoAlO2의 구조와 특성

3. 실험
3-1. LiNi0.8Co0.15Al0.05O2(NCA) 합성 및 분석
3-2. 전지제작 및 전기화학 분석

4. 실험 결과
4-1. NCA 물리적 성질
4-2. NCA 전기화학적 특성 실험
4-2-1. 충·방전 특성
4-2-2. 교류회로전기저항(Electrochemical Impdance Spectroscopy)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리튬이온전지
최근에는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2차 전지 사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와 함께 정보기술 산업(IT)의 대표주자로서, 2차전지는 일반전지와 달리 충 방전을 통해 반복사용이 가능한 화학전지로 정의 된다. 이러한 2차전지는 노트북, 휴대폰, PMP 등 휴대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핵심 부품이므로 IT산업의 경기 동향에 매우 민감한 편이다. 또한 최근 로봇, HEV, LEV, 전동공구 등 모바일 전동기기의 발달과 더불어 용량 및 출력이 큰 전지의 수요가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 기존의 리튬 전지는 음극이 금속 리튬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그 때문에 안전성이 낮았다. 따라서 리튬 이온 전지는 금속의 리튬 덩어리가 아니라 리튬 이온을 포함하는 물질을 음극과 양극으로 사용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었다. 1981년 벨 연구소에서는 리튬 전지에 금속 리튬 대신사용 가능한 흑연 음극을 개발하여 특허를 획득하였다. [1] 그 후 John B. Goodenough가 이끄는 연구팀이 새로운 양극을 개발함으로써 비로소 1991년 소니에 의해 최초의 상업적 리튬 이온 전지가 출시되었다.

<중 략>

전이금속 용액 NiSO4, CoSO4를 증류수에 희석시켜 용액을 준비한다. Al sol을 만들기 위해 Al(NO3)3 용액을 제조한 다음 28 wt% NH4OH solution을 첨가한다. 적정pH 8∼9 도달하게 되면 흰색 콜로이드 입자의 sol이 생성된다. 두 용액을 포함한 NiSO4, CoSO4, Al(OH)x를 Ni/Co/Al =0.8/0.15/0.05 mol ratio에 따라 CSTR 반응기에 동시에 첨가하였다. CSTR 반응기는 유지시간(TR)과 pH조건에 따라서 제어하였다. 시간이 지나면 CSTR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반응기에서 overflow과 되면서 NCA hydroxide의 용액이 생성되었다. [Figure. 3-1] 이차전지 구성요소. 이 용액을 여과, 세척, 건조를 거친 후, LiOH(Li/M = 1.05) 와 함께 섞어서 750oC에서 20시간동안 소성하여 LiNi0.8Co0.15Al0.05O2(NCA)를 제조하였다.

참고 자료

US Patent 4304825, "Rechargeable Battery", granted(1981)
Peter. G. Bruce, Chem. Commum, "Promising electro chemical systems for rechargeable batteries", 19, 1817(1997)
주간전자정보 리튬이차전지 기술동향 -양극활물질-
박숙희, Li[Ni1/3Co1/3Mn1/3]O분말의 고상 합성 공정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기술대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2007)
서영선, 졸-겔(sol-gel)법을 이용한 LiMnO₄ 합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 공학대학원(2009)
이차전지 양극ㆍ음극활물질용 나노소재 기술 개발, 교육과학기술부(2008)
M.Yoshio, 리튬이온이차전지 재료와 응용(2002)
T. Ohzuku, A. Ueda, Solid State Ionics, 69, 201(1994)
김점수, 매거진리튬이차전지용 양극소재의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E.chem 매거진 (2010)
T. Ohzuku, A. Ueda, M. Kouguchi, J. Electrochem. Soc. 142, 4033 (1995).
G. V. Zhuang, G. Chen, J. Shim, X. Song, P. N. Ross, T. J. Richardson, J. Power Sources 134, 293 (2004).
S. H. Ju, H. C. Jang, Y. C. Kang, Electrochim. Acta 52, 7286 (2007).
S. B. Majumder, S. Nieto, R. S. Katiyar, J. Power Sources 154, 262 (2006).
M. Guilmard, A. Rougier, M. Gruine, L. Croguennec, C. Delmas, J. Power Sources 115, 305 (2003).
H. Cai, B. Xia, N. Xu, C. Zhang, J. Alloys and Compounds 376, 282 (2004).
Worldwide Rechargeable Battery Market, PART 2: TECHNICAL, ECONOMICAL & REGULATION TRENDS, Avicenne Development., 2007-2020.
S. Yoon, C. W. Lee, Y. S. Bae, I. Hwang, Y.-K. Park and J. H. Song, Electrochem. Solid State Let., 154 A211 (2009).
A. C. Pierre, Introduction to Sol-gel processing, Kluwer Academic Publishers, Boston, 1998.
C. F. Baes, R. E. Mesmer, The Hydrolysis of Cations, Krieger Publishing Company, Malabar Florida, 1976.
C. J. Brinker, G. W. Sherer, Sol-gel science;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Sol-gel Processing,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1990.
T. Ohzuku, A. Ueda, M. Nagayama, J. Electrochem. Soc. 140, 1862 (1993).
H. Omanda, T. Brousse, C. Marhic, D. M. Schleich, J. Electrochem. Soc. 151, A922 (2004).
C. Pouillerie, F. Perton, P. Biensan, J. P. Peres, M. Broussely, C. Delmas, J. Power Sources 96, 293 (2001).
S. Yoon, B. H. Ka, C. Lee, M. Park, S. M. Oh,, Electrochem. Solid State Lett. 12, A28 (2009).
P. Arora, B. N. Popov, R. E. White, J. Electrochem. Soc. 145, 807 (1998).
A. J. Bard, L. R. Fulkner, Electrochemical method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8: Chap. 9
B. Boukamp, Equivalent circuit, users manual, University of twente, Enschede (1989).
*일*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리튬이차전지용 Ni-rich  양극활물질 합성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