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방통대영어영문학과논문

*종*
최초 등록일
2014.10.07
최종 저작일
2013.10
2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과업
1.1 과업의 정의
1.2 과업의 구성요소
1.3 과업의 유형
2. 과업중심 학습
2.1 과업 중심학습의 정의 및 특성
2.2 과업 중심 학습의 장·단점 및 유의점
3. 과업중심 학습의 모형
3.1 일반적인 과업중심 학습 수업 모형
3.2 초등학생을 위한 과업중심 학습 모형

Ⅲ. 과업 중심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1.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2. 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3. 학습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4. 듣기 자신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5. 말하기 자신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영어는 세계어로서 과학, 항공, 컴퓨터, 외교, 관광 등에서 공식 언어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적인 서적 관련 사이트는 “모든 비즈니스 계약의 절반이 영어로 체결되고, 과학논문 3분의 2가 영어로 집필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므로 이런 상황속에서 영어는 단순한 외국어가 아니라 무한 경쟁의 국제 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생존 언어로 파악되어야 하며, 영어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에서도 영어의 목표가 실용적 가치와 학문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의사소통 능력에 역점을 두고 있다.
초등영어의 목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교육부,1997, p.29). 최근의 영어교육은 읽기와 독해 위주의 영어교육에서 탈피하여 영어를 실제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시키는데 초점을 나추고 있다. 의사소통은 항상 어떠한 상황과 맥락 속에서 일어나며, 이러한 의사소통의 가장 중요한 요서는 상호 활동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아동이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친구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영어를 자연스럽게 습득 할 수 있는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실제와 유사한 상황을 제공하여 학생들끼리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영어를 학습 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과업중심 학습(task-based learning)이다. 과업중심 학습이란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과업’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통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목표언어를 배우도록 하는 방법이다. 과업중심 학습을 수업에 적용하면 학생들은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의사소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친구들과 영어를 사용하여 묻고 답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영어를 학습 할 수 있게 된다.
현행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에서도 학습지도 방법 가운데 과업중심활동을 권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표는 이러한 과업중심 학습이 초등학생들에게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분석하고, 적용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 제시하고,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복현. (2000). 수준별 과제 제시를 통한 자기주도적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방안.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정렬. (2001). 영어과 수업-학습방법론. 서울문화사
김정혜. (2001). 과제수행 학습모형을 통한 초등영어 학습의 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주은. (1999). 제7차 영어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중학교 과제 수행 학습에
따른 교과서 모형 개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진철. (1999). 초등영어 지도법. 한국문화사
박희정. (2000). 과제 수행 학습을 통한 기초 영어 능력 향상 방안.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김현진. (2004). 초등영어 교육에서 과업중심 학습이 듣기 및 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Littlejohn, A. & Hicks, D. (1987). Task-centered writing activities. In C. N. Candlin & Murphy.
Littlewood, W. (1981).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g, M. (1985). A role for instruc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in K. Hyltenstan & M. pienman (eds.). Modelling and assess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levedon : Multinlngual Matters.
Numan, D.(1989). Designing tasks for the communication classroom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
Pattison, P. (1987). Developing communication skill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rabhu, N. (1987). Second language pedagogy.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Rivers, W & Temperly. M. (1978). A practical guide to the teaching of English as a second of foreign language.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Skehan, P. (1996). Communicative competence : Theory and classroom practice.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Inc.
Swain, M. (1985) Communicative competence : some roles of comprehensible input and comprehensible output in its development.
In Grass, S. & Madden, C(Eds.)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owely, Mass:Newbury House.
Wills, J. (1996). A framework for task-based learning. harlow, essex, England : longman
*종*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방통대영어영문학과논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