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서방성 약물방출형 스텐트 개발을 위한 PLGA-Sirolimus-용매 시스템에서의 용매의 영향 및 약물방출특성평가

율하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4.10.08
최종 저작일
2012.01
4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 론

Ⅱ. 실험 재료 및 실험 방법
2-1. 실험 재료
2-2. 실험 방법
2-2-1. PLGA로 코팅된 SRL 방출형 스프링 제조
(1) 스프링 코팅을 위한 전처리
(2) 초음파 분사기를 이용한 SRL 함유 PLGA의 스텐트 코팅
(3) 코팅된 PLGA의 두께 측정 및 Morphology 관찰
2-2-2. 유기 용매에 따른 약물 방출 실험
2-2-3. In vitro에서 PLGA에 대한 분해 거동 평가
(1) PLGA 필름 제조
(2) Mass loss 측정
(3) GPC 분석
(4) pH 측정
2-2-4. 유기 용매별 Morphology 관찰(FE-SEM)
2-2-5. 약물 방출 거동과 용매의 상관관계 분석
(1)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ic(DSC) 분석
(2) Attenuated Total Reflection(ATR-FTIR) 분석
(3)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 분석
(4) X-ray diffraction(XRD) 분석
(5) Roughness 측정
2-2-6. 유기 용매에 따른 SRL 나노 입자 크기 및 안정화도 측정
(1) Nanosuspension 제조
(2) 유기 용매별 SRL 입자 크기
(3) Zeta potential 측정

Ⅲ. 실험 결과 및 고찰
3-1. SRL 방출 거동에 미치는 유기 용매의 영향
3-1-1. 약물 담지량 절대값에 대한 약물 방출 비교
3-1-2. 코팅 표면의 거칠기 변화가 약물 방출에 미치는 영향
3-1-3. PLGA 열정 거동 평가 및 고분자 사슬 배열의 변화
3-1-4. 유기 용매에 따른 고분자의 화학적 구조 변화 가능성 여부 평가
3-1-5. 약물의 표면 분포 분석(XPS)
3-1-6. 결정질의 변화(XRD)
3-2. In vitro에서 PLGA에 대한 분해거동평가
3-2-1. 다른 유기 용매 사용에 따른 PLGA 분자량 감소 비교
3-3. SRL과 용매 그리고 고분자간의 상관관계 평가
3-3-1. SRL 응집 입자 크기의 변화와 결정성
3-3-2. Zeta potential
3-3-3. 유기 용매와 분해된 PLGA morphology
3-4. 유기 용매에 따른 약물 방출 거동의 해석

Ⅳ.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분사기를 이용하여 시롤리무스(SRL)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Poly(lactide-co-glycolide)(PLGA)를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소재의 스프링 표면에 코팅하였다. 고분자-유기 용매-약물간의 분자간 상호작용은 약물이 함유된 고분자 용액으로 코팅된 시편의 표면 거칠기, 약물 입자의 크기, 약물 함량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기 용매가 갖는 고유의 특징들은 결정성 약물인 SRL의 응집을 유도하며, 유기 용매에 따라 응집된 SRL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nanosuspension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중 략>

관상동맥 질환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 1977년 Gruentzig가 소개한 경피적관상동맥확장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은 좁아진 혈관을 유도 철선을 통과시킨 다음 풍선을 높은 압력으로 확장시켜 넓히는 방법으로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대신하여 널리 이용되었다. 하지만 PTCA는 급성 폐쇄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있었고, 30~50%의 높은 재협착률을 나타내었다[1~3]. 그리고 이후 1990년대에 금속스텐트의 개발로 인해 기존의 관상동맥 풍선확장술의 치명적인 단점이었던 관상동맥의 협착(arterial shrinkage)과 급성 수축(acute recoil)을 줄였다. 하지만 이러한 금속스텐트도 6개월 이내에 20~40%의 스텐트 내 재협착과 아급성 혈전증(subacute stent thrombosis) 등이 발생하였다.

<중 략>

먼저 코팅된 고분자의 두께가 5 ㎛가 되도록 코팅 조건을 조절한 후, 유기 용매별 SRL 방출 거동을 관찰하였다. 하지만 동일한 두께로 실험을 진행하더라도 유기 용매가 갖는 내재적 특징들(비등점, 밀도, 극성 등)로 인해 코팅된 샘플들 간의 명확한 차이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유기 용매, 고분자-약물, 약물-유기 용매간의 서로 다른 용해도와 분자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코팅된 표면은 물론 그 내부에 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참고 자료

A. Betriu, M. Masotti, A. Serra, J. Alonso, F. Fernandez-Aviles, F. Gimeno, T. Colman, J. Zueco, J.L. Delcan, E. Garcia, J. Calabuig, (1999). "Randomized comparison of coronary stent implantation and balloon angioplasty in the treatment of de novo coronary artery lesions (START): a four-year follow-up”, J. Am. Coll. Cardiol. 34, pp. 1498–1506.
P. W. Serruys, P. deJaegere, F. Kiemeneij, C. Macaya, W. Rutsch, G. Heyndrickx, H. Emanuelsson, J. Marco, V. Legrand, P. Materne, J. Belardi, U. Sigwart, A. Colombo, J. J. Goy, P. vanden Heuvel, J. Delcan, M. Morelfor the Benestent Study Group, (1994). "A comparison of balloon expandable stent implantation with balloon angioplasty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e BENESTENT study group”, N. Engl. J. Med. 331, pp. 489–495.
Jain RA. (2000).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various drug loaded biodegradable poly(lactide-co-glycolide) (PLGA) devices”, Biomaterials 21, pp. 2475–2490.
Cohen, D. J., Krumholz, H. M., Sukin, C. A., Ho, K. K., Siegrist, R. B., Cleman, M., et al. (1995). "Inhospital and one-year economic outcomes after coronary stenting or balloon angioplasty: Results from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irculation, 92: pp. 2480-2487.
Simon Jr CG, Khatri CA, Wight SA, Wang FW. (2002). "Preliminary report on the biocompatibility of a moldable, resorbable, composite bone graft consisting of calcium phosphate cement and poly(lactide-co-glycolide) microspheres”, J Orthop Res 20, pp. 473–482.
Lowe HC, Oesterle SN, Khachigian LM. (2002). "Khachigian LM. Coronary in-stent restenosis: current status and future strategies”, J Am Coll Cardiol. 39, pp. 183-193.
Santin M,Mikhalovska L,Lloyd AL,Mikhalovsky S,Sigfrid L,Denyer S,Field S,Teer D. (2004). "In vitro host response assessment of biomaterials for cardiovascular stent manufacture”, J Mater Sci: Mater Med 15: pp. 473–477.
Marx SO, Jayaraman T, Go LO, et al. (1995). "Rapamycin-FKBP inhibits cell cycle regulators of proliferation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Circulation Res 76: pp. 412–417.
율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소개
회원 소개글이 없습니다.
전문분야
PPT양식, 공학/기술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서방성 약물방출형 스텐트 개발을 위한 PLGA-Sirolimus-용매 시스템에서의 용매의 영향 및 약물방출특성평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