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 가족환경척도(FES-K)의 타당화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4.01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12권 / 2호
저자명 : 박정희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Moos와 Moos(1981)의 가족환경척도(FES)를 기초로 가족체계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한국 가족환경척도(FES-K)를 재구성하고, 이에 대한 타당화 작업을 통해 FES-K가 우리나라에서 임상적으로나 이론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교 학부모 66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본 조사는 2003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FES-K 개발을 위한 기본문항은 본 연구자를 포함하여 6명의 전문가가 검토하였으며, 이때 신뢰도 계수는 .13∼.67로 나타났다. 우선, 한국 FES-K의 문항구성을 위해 문항양호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문항이 제외되었다. 또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를 기초로 13개 문항이 추가로 제외되었고, 최종적으로 9개 하위척도 총 72문항의 FES-K가 완성되었다. 본 척도에 대한 Cronbach's alpha가 .45∼.77로 나타났는데, 이로써 '성취지향' 하위척도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신뢰할만한 척도로 재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FES-K와 김수연(1998)의 순환모델 척도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상관계수가 산출되었으나, 이미옥(2000)의 가족체계 진단척도(FSDS)와는 비교적 낮은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자 가정의 가족환경특성이 인문계와 실업계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판별분석 결과에서도 FES-K 점수를 통해 인문계와 실업계 집단을 구분할 가능성이 60.8%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FES-K는 우리나라 가족환경 특성을 측정해 줄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만한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tested the validity of the Family Environment Scale-Korean Version (FES-K) to assess famil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Korean sample. The original Family Environment Scale (FES), a self-report 90-item measure developed by Moos and Moos(1981), can help people better understand their family, learn how other family members perceive the family, and become more aware of how their behavior and ways of coping affect the family.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660 parents with teenagers attending to several high schools. In response to the correlations between 10 sub-scales and its 90 items on the original American version, 5 items removed.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o test of its content validity suggested to get rid of 13 items. Therefore, the FES-K was composed of 72 items in 9 subscales, comparing to the FES that has 90 items in 10 subscales. Reliability coefficients (Cronbach's alpha) for each subscale ranged from .45 to .77. To evaluate criterion validity,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the FES-K and the Korean version of FACES by Kim(1998), the FSDS by Lee(2000) were computed. In general, the FES-K was relatively high correla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FACES, but was modest correlated with the FSDS. Lastly, the FES-K had good discriminate power (60.8%) when comparing academic and technical high school groups in Korea. Therefore, the Korean version of FES seems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 가족환경척도(FES-K)의 타당화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