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불교적 感應의 담론 형성에 관하여 : 힘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5.01
2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수록지정보 : 구비문학연구
저자명 : 박성지

목차

1. 들어가며
2. 불교 교학체계 속에서 ‘감응’ 개념의 형성
2.1 감응: 소통의 기제
2.2 ‘기이-사건’의 형성
3. 감응담론의 형성
3.1 ‘힘’의 의미망으로 전환
3.2 국가권력과의 관계: 힘의 양방성
4. 나오며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한국 고대-중세초기의 불교계 서사를 중심으로 ‘감응’의 언표가 어떻게 담론을 형성하는지를 살폈다. 불교교학 속에 나타난 감응은 위진 남북조 시기 神滅神不滅 논쟁을 거쳐 성인교화를 정당화하는 개념으로 정리되었다. 그것은 초월적 聖과 고통 받는 인간을 연결시켜주는 소통기제이며,기이한 사건을 수반한다. 그런데 이 소통기제는 종교 본래의 영역을 벗어나면서 힘과 욕망의 의미망을 이루면서 담론을 형성한다. 이때 聖은 위기상황을 타개해주고, 인간세상을 구원하며, 존재를 상승시켜주는 ‘힘’으로 현시된다. 초월적 힘을 담지한 자(성인)와 인간은 상하의 위계구조를 지닌다. 다시 말해 성인의 힘은 인간을 향해 밑으로 흐르는 것이다. 하지만 성인이 국가권력과 관계를 맺을 때, 힘은 한 방향으로만 흐르지 않는다. 국가는 이 힘을 포섭해서 부국강병의 이상을 이루고자 하며, 반대로 초월적 힘의 담지자는 인간권력을 끌어들여 현세에서 자신의 존재를 길이 각인시키고자 한다. 이 힘의 양방성에서 초월적 힘과 대등한 인간권력의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영어 초록

Centering on Buddhist narration from ancient to early middle age in Korea,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énoncé of divine response forms discourse. Through the controversy between Buddhists and anti-Buddhists during Liù-cháo period: shen-mi-lun and shen-pu-mieh-lun(神滅神不滅論), divine response in Buddhist dogma was established as a concept that justified the learning of the sage. It is a mechanism of communication that connects transcendental being and humans in suffering, and it accompanies an extraordinary événement when appearing in reality. However, by escaping from its original sphere of religion, this mechanism constructs a network of meaning, and simultaneously forms a discourse. At this time, the transcendental being is revealed as the “power” that resolves crisis, saves the world and develops human beings. Furthermore, it establishes an énoncé of fortune(福) as virtuality. The person who possesses transcendental power and human beings mainta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that is, the power of the being runs down to humans. However, when this being establishes relations with the state authority, power no longer flows unilaterally. The state aims to heighten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by securing this power, while the possessor of transcendental power attempts to imprint his self in reality by using human authority. Such bilaterality of power reflects an aspect of human authority that is equal to transcendental power.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불교적 感應의 담론 형성에 관하여 : 힘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