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비디오 피드백이 사회불안장애 집단의 사회적 자기상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6.01
1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인지행동치료 / 6권 / 1호
저자명 : 조용래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로 집단인지행동치료를 받고 있는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비디오 피드백이 그들의 사회적 자기상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비디오 피드백의 효과를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된 대학생 18명이 각 개인별로 사회공포유발상황에 대한 모의노출훈련에 참가하였으며, 인지적 준비 절차와 함께 그들의 수행에 대한 비디오 피드백이 제공되었다. 그 결과, 비디오 피드백을 받은 후에는 그 전에 비해 참가자들의 불안관련 행동적 반응이 뚜렷하게 감소되었으며, 수행에 대한 부정적인 자기 지각 역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반면에, 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 지각은 유의미하게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전에 측정된 안전행동의 빈도는 비디오 피드백 후의 수행에 대한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기 지각의 변화 양자 모두와, 그리고 사회적으로 두려운 결과의 발생가능성 추정치 및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은 각각 비디오 피드백 후의 수행에 대한 긍정적 자기 지각의 변화와 유의미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비디오 피드백이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받은 대학생들의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상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치료법임을 시사한다.

영어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feedback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self-image and to explore predictors of response to the video feedback in clients receiving group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Eighteen college students diagnosed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were asked to perform their feared social tasks before a video camera in group sessions and were then shown the video of their performance. Following the video feedback with cognitive preparation, participants made significantly lower ratings of their social anxiety-related behavioral responses and negative performance aspects compared to the same ratings made prior to the video feedback, whereas their ratings of positive performance aspects following the video feedback did not differ from those made before the video feedback. Initial frequency of safety behavio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ange on the rating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formance aspects following the video feedback. Higher likelihood estimates of feared social outcome and more negative social self-concept at pre-treatment were each related to less improvement on the ratings of the positive performance asp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gative social self-image in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can be effectively improved by video feedback.

Key words : video feedback, social anxiety disorder, social self-image, cognition, safety behavior, predictor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비디오 피드백이 사회불안장애 집단의 사회적 자기상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