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 설화에 나타난 원형적인 인물 트릭스터의 경계성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9.01
2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수록지정보 : 구비문학연구
저자명 : 나수호

목차

1. 들어가면서
2. 여기에 있는 것도 아니고 저기에 있는 것도 아닌 인물: 트릭스터의 경계성
1) 경계성의 발현 양상 Ⅰ: 트릭스터의 공간
2) 경계성의 발현 양상 Ⅱ: 트릭스터의 사회구조와의 관계
3) 경계성의 발현 양상 Ⅲ: 트릭스터의 시간의 개념
4) 경계성의 발현 양상 Ⅳ: 트릭스터의 기만적 언어
3. 원형으로서의 트릭스터의 의의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설화 인물의 원형, 즉 융이 말한 원형으로서의 트릭스터를 김선달, 방학중, 정만서라는 한국 설화에 나타난 세 명의 인물의 예를 통해 검토하면서 그 원형의 의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먼저 트릭스터의 기본적인 특징인 경계성(liminality)을 보고 세 인물이 등장하는 설화를 살펴 그 경계성이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양상을 해명했다.
경계성의 첫 번째 발현 양상은 공간적인 경계성이다. 이 양상은 경계라는 개념 그대로의 뜻인데 트릭스터가 길에서 능력을 발휘하거나 속임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에서 볼 수 있다. 출발지도 아니고 도착지도 아닌 그 중간의 공간에 존재하며 활약을 펼친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사회구조의 있어서의 경계성이다. 쉽게 말하면 트릭스터가 자신만을 위해 사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에서 움직이고 행동하지만 오로지 자기 욕심을 채우기 위해 행동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사회 일원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또한 사회 질서를 지키는 도덕과 상관없이 행동한다. 셋째로는 시간적인 경계성인데 보통 사람은 과거에 대한 기억과 미래에 대한 희망이나 두려움과 함께 인생을 살지만 트릭스터는 현재 바로 이 순간만 아는 인물이다. 바흐친이 말한 카니발적인 시간에 존재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로는 언어적인 경계성이며 트릭스터가 언어의 모호성 또는 중의성을 이용하여 사람을 속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의미의 경계에서 논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트릭스터의 이러한 모습은 우리 인간의 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부정적이거나 악하다고 생각했던 그 측면도 우리의 모습이며 오히려 그것을 보고 두려워하지 않고 웃을 수 있게 해주는 인물이 바로 트릭스터인 것이다.

영어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rickster as an archetypal figure in the Jungian sense, drawing on three examples from Korean folk tales―namely Kim Seondal, Bang Hakjung, and Jeong Manseo―to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this archetype. First, liminality is introduced as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trickster, following which specific manifestations of liminality are explained through examples from folk tales featuring the three figures mentioned above.
The first manifestation of liminality is spatial liminality. This is the most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and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the trickster often demonstrates his abilities or engages in trickery while on the road. His playground is neither the starting point nor the destination, but the space in between. The second manifestation is liminality in terms of the social structure. Put simply, the trickster lives only for himself. He moves and acts within society, but since he acts only to fulfill his own desires, he can never become a true member of society. This is also the reason why he acts in total disregard for the moral code that upholds social order. The third manifestation is temporal liminality; while people normally live with memories of the past and hopes and fears for the future, the trickster lives only in this present moment. He could be seen as a figure who exists in a Bakhtin-esque carnival time. The fourth manifestation is linguistic liminality, exemplified by the trickster's use of the ambiguity of language to deceive others. In other words, he plays in a semantic liminal space.
Finally, it was seen that all these aspects of the trickster figure are actually a mirror into our true human selves. That is, the trickster shows us that even those aspects that have been thought of as negative or evil are in fact part of our nature, and he allows us to laugh at, rather than fear, what we see in ourselve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 설화에 나타난 원형적인 인물 트릭스터의 경계성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