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집단미술치료가 노숙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적절성에 미치는 효과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4.01
2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미술치료연구 / 11권 / 1호
저자명 : 김경순, 이근매

목차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노숙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적절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구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의 P노숙자 쉼터에서 생활하는 40명의 노숙자들을 대상으로 ‘한국형 알코올중독 자가진단법’을 실시하여 체크한 수가 20개 이상인 말기로 진단된 사람들 가운데서 본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기로 한 노숙알코올중독자 5명에게 Rosenberg(1965)가 개발한 검사를 전병제(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검사와 안범희(1985)가 대인관계의 목적과 기능, 대인관계의 평가기준, 정상인 및 적절한 인간의 특성, T. Leary가 만든 「대인관계행동모형」을 종합하여서 만든 대인관계적절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도중 2명은 알코올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게 되어 남아있는 3명만 이 프로그램에 끝까지 참여하게 되었다.
결과는 대상자 모두 미술치료과정을 통해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보였으며, 대인관계적절성의 전체 영역에서의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들 모두는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보이면서 대인관계 적절성의 긍정적 향상을 보였다.
대상자 A는 치료초기 자신감과 자발성의 결여를 보였으나 자신에 대한 표출과 자신감의 강화를 보이기 시작한 후 타인에의 이해와 관심을 보였다.
대상자 B는 자신감과 자발성이 향상되면서 지각관계영역과 표현․정서관계영역에서 향상을 보이고는 있으나 역할관계영역과 자율․통찰관계영역에서는 적은 향상을 보였다. 이는 개인의 발전이 관계의 발전에 우선함을 보이는 예라 할 것이다.
대상자 C 또한 자신감과 자발성이 향상되면서 지각관계영역과 역할관계영역에서의 두드러진 발전을 보였으며 타인을 배려하는 역할 수행에 있어서도 혼자가 아닌 공유의 형태로 변하였다.
세 대상자의 변화과정을 통해, 개인의 정립이 상호관계의 정립에 우선하며, 자신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시각이 타인과의 관계정립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을 알 수 있다.
결론으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이 보인 변화의 과정을 통찰할 때, 개인의 자신감과 자발성의 향상, 자아존중감의 수립은 집단 내에서 개인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게 하는 심리적 기반이며 개인의 주장을 펼쳐가는 단계를 통해 타인의 입장에 서서 서로의 역할을 비교하고 이해하며 상호배려와 공유 및 공감을 하게 하는 발전 과정을 겪는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결론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자아존중감의 어떠한 변화에 따라서 대인관계적절성이 어떠한 영역에 변화를 일으키는지 서로간의 변화와 관계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인간의 인생을 변화시키는데 있어서 어떤 내면의 변화가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소수의 인원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미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보다 많은 대상자의 치료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어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dequacy of homeless alcoholics.
This study was done on 40 of homeless who were living in P shelter for homeless in Busan City, and surveyed on five of homeless alcoholic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to this
group art therapy among the persons who were diagnosed as their last stages, with more than 20 of checked items by ‘Korean Alcoholism Screening Test’ with test of Rosenberg(1979), self-esteem scale revised by Byeong Je Jeon(1974), purpose and function of personal relation, benchmark of personal relation, specialty of normal persons and appropriate persons by Beom Hee Ahn(1983), and test of interpersonal relations adequacy was done with 「Behavior Sample of Interpersonal Relation」 by Leary. But, only three of them could participate in this program since two of them went to hospital by alcohol during the program of group art therapy.
As for the result, all of them showed increase of self-esteem and showed positive change in all of the field of interpersonal relations adequacy through process of art therapy. All of them showed change of self-esteem and showed positiv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 adequacy.
Subject A showed lack of spontaneity and self-confidence at the early period of therapy, but showed understanding and concern to the other persons after he showed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and expression of himself.
Subject B showed improvement in field of perceptive relation and field of expressive and emotional relation as well as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and spontaneity but showed a
little improvement in field of role relation and self-control and field of penetrative relation.
It was an example which showed that private development was preceding ahead of development of relation.
Subject C showed conspicuous development in field of role relation and field of perceptive
relation by improving self-confidence and spontaneity, and he showed not form of alone but
form of common in role accomplishment of concern for other person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three clients, it was revealed that private establishment was ahead of establishment of mutual relation, and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positive view point was giving enormous of effect for establishment of relation with other persons.
As for the result, when we observe the process of change shown by client persons, it
was observed that improvement of personal self-confidence and spontaneity and
establishment of self-esteem were psychologic foundation for each person's voice in a
group, and through spreading of personal insistence, they could compare and understand
each other's role, and it experienced developmental process of mutual concern, co-existence,
and sympathy.
Through the result, I'd like to suggest several things;
First, we need following study on change and relation between each other to survey what kind of change is derived into what kind of field from interpersonal relations adequacy according to change of self-esteem.
Second, through long term's of research, we need concrete study on what kind of change is derived into change of behavior by change of inside of a person in changing human life by group art therapy.
Third, since this study is with small number of subjects, we need to research on effect of much more subjects of therapy for propriety verification for the effect of art therapy.
Key Words : Group art therapy, Homeless Alcoholics,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 Adequac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집단미술치료가 노숙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적절성에 미치는 효과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