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시각장애학교의 개별화교육계획 실태 및 개선 방안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10.06
2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수록지정보 : 시각장애연구 / 26권 / 2호
저자명 : 유민수, 김영일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시각장애학교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실행 및 평가에 관한 실태와 개선 방안을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조사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전국의 시각장애학교 11개교의 학급 담임교사 97명이었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및 동법 시행규칙에 따라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주목되는 결과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학생의 현행 수준을 객관적인 도구보다는 직접 관찰 방법으로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 일부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은 작성되고 있지 않다는 점, 일부 교과 또는 발달 영역에 대해서만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고 있다는 점, 일상생활기술에 가장 우선순위를 두고 작성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시각장애학교의 개별화교육계획과 관련된 개선 방안으로 교사들은 적절한 개별화교육계획 양식 개발, 교재 및 교구 개발, 개별화교육지원팀의 적정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practice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IEP)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 total of 97 teachers from 11 school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for this study, consisting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ncluded six items about the teachers' demographic and teaching-related variables; the second part comprised 27 items regarding the writ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IEP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April 30 in the year of 2009. For the most part,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write IEPs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Education Law and its regulations. It is notable that the majority of teachers evaluated the current level of their students' performance in a variety of areas based on their informal observations, not on the formal test instruments, which indicated the need for developing test instrument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t is also notable that the majority of teachers thought that the IEPs should be written only for some of students in some of the areas. The teachers believed that the first priority should be put in the area of daily living skills when writing the IEP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participants emphasized the need for designing the IEP format, developing materials and devices, and operating the IEP team 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논문]RFID를 이용한 건설분야 활용사례 54페이지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현재 타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무선인식기술(RFID ... 수립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 효율화, 최적화 장기수급 계획 ?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시각장애학교의 개별화교육계획 실태 및 개선 방안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