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주생활 공동체 의식에 따른 코하우징 선호도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7.07
1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18권 / 4호
저자명 : 곽유미, 최정신, 곽인숙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및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영어 초록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on preference of cohousing (eg. intention to spread and intention to move in cohousing) according to sense of community, especially in housing life by married people residing in Seoul and its outskirts.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a social survey. Respondents were 214 people by accidential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using frequency, mean, average,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Chi-square test.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respondents took part in interactive activities with colleagues from the same occupation. They Focused on the issues about health, leisure and hobby. The respondents mainly wanted to have interaction for changing recycling materials and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juveniles. Degree of ideal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they think, were greeting and chatting as well as communication about issues on child-care, education for children, offense-prevention and safety. Although respondents were interested in community life and in interaction with their neighbors, they did not build up communal society due to lack of a sense of belonging in their living areas. While respon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 about preference of cohousing,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intention to spread of cohousing and intention to move in cohous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tronger sense of community in housing life meant the more interests in thoughts to spread and to move in cohousing.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ense of community in cohousing, the plan of various communication programs that enables frequent interaction among neighbors is needed. Also, in order to spread cohousing in Korea, promotion of cohousing community and cognitions about it are the most need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주생활 공동체 의식에 따른 코하우징 선호도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