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고층 아파트 단지의 동선 유형 및 적용 패턴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8.11
1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19권 / 6호
저자명 : 김형진, 김영석, 박찬규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고찰
III. 동선체계의 유형 및 적용경향 분석(사례분석1)
VI. 경향 분석(사례분석2)
V.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우리의 주택 정책은 부족한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택 공급의 양적 확대만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왔다. 이러한 물량 위주의 주택 공급 정책은 결국 우리의 주거 단지를 획일적이고 무미 건조하게 만들어왔으며 우리의 주거 환경을 도외시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주거 단지의 동선 패턴은 단지의 배치 패턴과 외부 공간의 구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계획 요소이다. 특히, 고층 아파트 단지의 경우 동선의 구성 방식에 따라 거주자의 안전성, 쾌적성, 근린성, 편리성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대부분의 고층 아파트 단지의 동선 체계들이 차도와 주차장 위주로 계획되고 있어 우리의 주거 환경을 크게 향상시키지는 못하고 있다.그러나 1980년대 중반, 몇 개의 공영 아파트가 현상 설계 방식으로 구현되었고 그 결과 여러 가지 새로운 계획 기법들이 시도됨으로써, 우리의 주거 단지는 과거의 한정된 패턴에서 탈피할 수 있는 새로운 발전의 계기를 맞게 되었다. 그 후 이러한 현상 설계가 일반화되었고 그에 따라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 개념들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고층주거단지 내 동선패턴 및 계획수법에도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을 것이라 판단된다.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1990년 이후 실시된 현상 설계 경기 당선작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주거 단지에 적용된 동선 패턴을 유형화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각각의 동선 유형별 특성과 그 적용패턴을 살펴봄으로써,향후 주거 단지의 동선 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나은 계획 방향을 탐색하려는데 그 목적을 둔다.

영어 초록

The street system in multi-family housing i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vehicles and pedestrians, and to form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projec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rise apartments, the street patterns have an influence on the safety, amenity, and convenience of facilities. Until now, however, the design of street patterns in most high-rise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has diminished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because priority of design consideration has primarily been given to planning road ways and parking areas. Nevertheless, the design competition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1980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fresh ideas and concepts in housing design. Because street patterns have been respectably modified as a result of the generalizing of design competitions,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ideas that have been proposed in competitions over the recent past. In this context,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street patterns and analyzed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for the proposals of housing design competitions since the 1990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road patterns are classified into4 types: 1) serial type, 2) isolated type, 3) mixed type, and 4) not a road pattern due to the system of connection. In addition, these were further divided into 8 types: 1) loop, 2) ring, 3) penetration, 4) tree, 5) direct entry, 6) ring and penetration, 7) loop and penetration, 8) not a road pattern due to appearance and the collector.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고층 아파트 단지의 동선 유형 및 적용 패턴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