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연계성 평가 모형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0.06
1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대한교통학회 수록지정보 : 대한교통학회지 / 28권 / 3호
저자명 : 박준식, 강성철

목차

Ⅰ. 서론
Ⅱ.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특성
Ⅲ.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 모형
Ⅳ. 사례분석
Ⅴ.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대중교통 네트워크가 점점 더 복합수단화됨에 따라 네트워크의 연계성이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
구에서는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연계성을 평가하는 계량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대중교통 노
선의 평가지표로 노선연장, 수송용량, 통행속도를 선정하고 이들의 곱을 노선의 연계강도로 정의하였다. 또한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용되는 노드의 중심성 지표 중 하나인 degree centrality 개념을 대중교통 네트워크에 적합하
게 수정하였다. 노선의 연계강도와 그 노선이 서비스하는 정류장의 degree centrality를 접목하여 정류장의 연계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를 개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 내의 노선 및 지역의 연계성 지수도
도출하였다. 또한 정류장의 연계성 지수와 이용자수용비율 함수를 이용하여 환승센터의 연계성을 평가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연계성 평가 모형은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대중교통 네트워크 내의 정류장, 노선, 지역의 연계성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고, 또한 환승센터
의 서비스수준 산정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 초록

As transit networks are becoming more multimodal, the concept of connectivity of transit networks
becomes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quantitative model for measuring the connectivity
of multimodal transit networks. To that end, we select, as evaluation measures of a
transit line, its length, capacity, and speed. We then define the connecting power of a transit line
as the product of those measures. The degree centrality of a node, which is a widely used centrality
measure in social network analysis, is employed with appropriate modifications suited for transit
networks. Using the degree centrality of a transit stop and the connecting powers of transit lines
serving the transit stop, we develop an index quantifying the level of connectivity of the transit
stop. From the connectivity indexes of transit stops, we derive the connectivity index of a transit
line as well as an area of a multimodal transit network. In addition, we present a method to evaluate
the connectivity of a transfer center using the connectivity indexes of transit stops and passenger
acceptance rate functions. A case study shows that the connectivity evalua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akes well into consideration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 transit networks, adequately
measures the connectivity of transit stops, lines, and areas, and furthermore can be used
in determining the level of service of transfer center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복합수단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연계성 평가 모형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