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공동주택 가족구성원별 전력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1.11
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2권 / 6호
저자명 : 김유란, 홍원화, 서윤규, 전규엽

목차

I. 서 론
II. 가정용 에너지 소비현황 및 에너지소비행동
III. 주거 내 행동에 따른 전력에너지소비 조사
IV. 구성원 생활패턴에 따른 전력에너지 소비성향 분석
V.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한국은 에너지 다소비 국가로, 2008년 경제규모는 세계12위였지만 에너지소비량은 세계 10위였다. 2010년 각 부문별 최종에너지소비현황을 살펴보면, 산업부문 59.3%, 수송부문 19.6%, 가정상업부문 18.8%, 공공기타부문 2.4%를 차지하고 있다. 가정부문 에너지소비는 총 에너지소비의 약 11.6%를 차지하고 있지만, 산업과 수송부문에 비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가정부문의 에너지절약이 강조되고 있다. 가정부문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크게 채광, 온도, 습도 등 건축적인 특성에 의한 부분과 취사, 세면, 수면, 여가등 인간생활 유지에 의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에너지절약정책에 의해 에너지소비효율이 나아지고 있지만, 기존 건축물이나 기기의 교체 및 보수는 고비용이라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에너지절약을 위해서 인간행동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소비에 초점을 맞추어, 에너지절약적인 생활습관을 유도하는 캠페인이 펼쳐지고 있다.직장과 가정에서의 에너지소비절약행동은 에너지사용료를 직접 지불하는 가정에서 더 효과가 클 것이다. 그 예로써, 한국 가정의 에너지소비는 연평균 1.3%의 증가를 보여 전체 수요부문 중 가장 더딘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가정용 에너지소비량은 연평균 0.6%씩 증가하였다. 한국의 1인당 가정용 에너지소비량은 0.39TOE로 일본 0.37TOE과 비슷한 수준이며, 미국0.88TOE과 OECD평균 0.60TOE보다는 적은 양이다.하지만 1인당 전력소비량은 5.9%급증했다. 에너지절약을 위하여 전력사용기기의 효율이 좋아졌지만, 가전기기의 급속한 보급과 대형화 및 고급화로 인하여 전기기기의 사용량은 오히려 급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핵가족화 및 1인가구 증가로 인해 전체 가구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른 주거부문 에너지소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이에 대비하여 효과적인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에너지소비량에 대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들을 통하여 주택의 전력소비는 주택면적, 소득수준, 가구원수 등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개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에너지소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여 이에 대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 내 에너지소비행동에의한 전력에너지소비를 분석하여, 공동주택 가족구성원 특성에 따른 전력에너지소비성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 초록

Korea is a country with an exceptionally high energy consumption. For economic reasons, Korean households are forced to save more energy. Korea's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has grown slowly compared to other sectors and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per capita i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However, its per capita electricity consumption soared and is expected to remain climbing mainly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To establish an effective strategy against a possible electricity shortage,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f electricity energy consumption first needs to be clearly understood. This study adopted both a general survey and a detailed survey of people living in apartment housings and data was collected on electrical appliance use according to individual schedules. Based on these data, the results were used to attempt to analyze electricity consumption patterns resulting from energy using activities of residents and to determine electricity consumption propensity according to each household member’s characteristics in apartment housing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공동주택 가족구성원별 전력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