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부모가정의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원예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1.03
2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 / 7권 / 1호
저자명 : 차지영, 천성문, 김세일, 이형미, 윤영숙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프로그램 개발
Ⅳ. 프로그램 효과의 분석 방법
Ⅴ. 프로그램 효과의 분석 결과 및 논의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원예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실시하고, 이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김창대(2002)가 제시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한부모를
대상으로 원예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회기별 실행 단계에 있어 역량강화 모
델에 기초한 원예치료 실행전략을 참고하여 전문가의 자문과 조언을 받아 개발하였다. 개발된
원예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D종합사회복지관의 한부모들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여 주 1회 120분씩, 총 9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험 사전, 사후에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자아존중감, 우
울척도를 실시하였다. 실험, 통제집단 간의 점수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COVA)
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의 사후검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예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
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부모-자녀관계 점수, 자아존중감 점
수, 우울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horticulture therapy to improv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the single
parent family, and verify the effect of it.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Horticulture Therapy was developed based
o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Model suggested by Kim, Chang Dea(2002).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ed program, the program was practiced to
24 single parents,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once a week. The program in the totally 9 times was carried
out, and each session took 120 minutes. The variable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wer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pre and post experiments, self-esteem, and depression sca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led groups was analysed using
ANCOVA.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the degree of
self-esteem, and in the depression scal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ttended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Horticulture Therapy, and the
controlled group, which did no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노인 가족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동향 고찰 60페이지
    영향’, 정미경·김주후(2008)의 ‘노년기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 조부모 이외의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으로는 김영옥(2014)의 ‘유아-조부모 ... 청소년기 손자녀를 둔 저소득 조손가정위한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부모가정의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원예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