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 고용불안정과 고용상태가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2.08
2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4권 / 3호
저자명 : 변금선

목차

1. 서론
2. 청년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높은 청년실업률과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청년층의 경제적 불안이 심화되고 있지만 청년층의 빈곤을
고용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특히 청년빈곤이 근로빈곤의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이들의
고용불안정과 고용특성이 빈곤의 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한국복지패널데이터의 제3차(2007년)~제5차(2009년) 자료를 이용해 청년 근로능력자의 빈곤이행(빈
곤탈출과 빈곤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용형태와 고용상태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층은 빈곤진입 및 탈출이 활발했으며 교육수준이 높고 비취업 상태에 놓인 경우가 많았다.
정규직일수록, 취업상태를 지속할수록 빈곤을 탈출할 가능성은 높아지고 빈곤에 진입할 가능성은 낮아
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년층의 빈곤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높은 교육수준과 불안정 고용을
고려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영어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employment status changes affects poverty
transition of workable youth using 3years panel data from KoWePS(Korea
Welfare Panel Study, 2007-2009).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although relative poverty rate of aged 18-34 is lower than other age
groups, significant amount of youth experienced poverty once in
2007-2009(14.59%). This means that there are some of youth suffering for poverty
and the aspect of youth poverty is very dynamic. Second, much of workable poor
of youth had high level of education(45.9% in 2009) and they were unemployed
or inactive in labor market(55.3% in 2009). These finding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of youth poverty or youth employment. Third, workable youth
who had changed employment status from employed to unemployed or inactive
in labor market were likely to enter poverty and less likely to exit from poverty.
Moreover youth who were non-standard employed had more possibility to be
poor and less possibility to be not poor. These show that employment instability
makes youth vulnerable to economic hardship, povert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ti-poverty programs which are related
with the work-related programs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y, should consider
workable youth who have high level of human capital comparing other ordinary
working poor. Because of much of youth are not poor in fixed time point, they
can’t be supported from existing social assistance program, like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Program. As youth who experienced poverty in changing
time need social support to prevent long-term poverty, government should
contemplate adopting assistance program for workable poor youth.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 고용불안정과 고용상태가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