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다문화시대 한국화교의 사회통합과 ‘인정의 정치’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2.05
2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수록지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22권 / 1호
저자명 : 전형권, 김혜련

목차

Ⅰ. 서론
Ⅱ. 한국화교와 사회통합에 관한 이론적 검토
Ⅲ. 우리 안의 타자 : 한국화교와 ‘인정의 정치’
Ⅳ. 결론

한국어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화교의 지위와 실태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다문화시대 한국의 사회통
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화교들이 한국사회에 통합되지 못하고
주변화 된 타자로 살아가는 현상 및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정치적 경합을 ‘정체성 정치’ 및 ‘인정
의 정치’ 개념을 통해 설명한다. 한국화교는 오랜 이주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어려운 귀화 조건
으로 인해 안정된 법적 지위를 획득하지 못하고 있으며, 비록 영주자격을 취득하여 법적 지위를
확보하였지만, 그들을 위한 혜택은 여전히 제한적이며 사회의 시선은 소수민족의 틀 속에 가두고
있다. 한국의 근대적 국민통합의 장치라 할 수 있는 타자화 기제는 화교를 사회통합의 대상에서
배제시켰다. 그 결과 다문화 시대 한국 사회 또한 통합의 역동성을 잃은 채 초국가적 이주민들의
수용을 둘러싼 정치적 긴장을 내장하고 있다. 이른 바 ‘인정의 정치’가 새로운 대항기제로 등장한
것이다. 그런데 화교들의 ‘인정(recognition)’ 요구와 한국의 ‘통합(integration)' 과제는 상호 배타적
인 것이 아니라 보완할 수 있는 다문화적 의제이다. 따라서 한국이 진정한 의미의 다문화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화교를 우리와 동등한 구성원으로 인정하려는 노력이 전제 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함께 소통하며 공생의 조건을 마련할 때 비로소 통합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position of Chinese diaspora in Korea and draw
some political implications to Korean for social integration in multiculturalism era. The authors explore
the causes what have made Chinese Korean be isolated and regraded as outsider rather integrated to
Korean society, thus, provide some alternatives in terms of 'politics of recognition'. In many cases, the
Chinese Korean still experience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discriminations and lack stable rights
compared to domestic citizens even though they obtain the right of permanent residence ten years ago.
Being regarded as ethnic minorities, the Chinese Korean have found themselves being 'Otherness' and
began to engage the identity politics as a respond mechanism to Korea's nation building projects. This
study insists that the lack of social and educational benefits to Chinese diasporas and the deep rooted bias
to them among Korean societies are in turn lead to rise a demand for 'recognition' as well. It should be
noticed that the demand for 'recognition' of Chinese diasporas and for 'integration' of Korean
government are not exclusive issues but can be combined complementarily each other in view of
multiculturalism perspectives. In conclude, Korean government should respect to and recognize the
immigrants just 'as they are' in process of building multicultural society with authenticit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다문화시대 한국화교의 사회통합과 ‘인정의 정치’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