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예비 사회진출자의 졸업 후 주거에 대한 기대 및 주거비 부담에 대한 인식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3.08
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4권 / 4호
저자명 : 이현정

목차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II. 선행 조사 및 연구 분석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어려운 사회·경제적 상황 속에서 대학을 졸업한 후에도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직업을 갖는 것도 매우 어려울뿐만 아니라, 취업을 하더라도 초기의 소득 수준으로는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젊은 가구는 주거 구매보다는 주거 이동이 용이하고 또주거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거 임차를 택하는 경우가많다. 하지만, 임차 계약 시에도 전세금이나 월세 보증금과 같이 목돈을 필요로 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주택임대 시스템 상, 사회에 갓 진출한 청년들이 스스로의 경제력만으로 주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Lee,2012). 이 때문에 더 저렴하고 지불 가능한 수준의 주거를 찾아 범죄에 취약하고 최저주거수준에 미치지 못하는주거나 열악한 주거환경에 거하거나, 단지 주거비를 감당하기 위하여 동거를 하는 청년가구도 많다.우리나라 정서상 경제적으로 자립할 능력을 갖추지 못한 자녀들의 주거비와 생활비는 고스란히 부모에게 전가되거나 부모나 가족의 경제적 도움조차 받지 못 하는 청년들은 금융기관 대출에 의존하거나 불법 사금융의 유혹을 받기 쉽다.청년층이 선호하는 직장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비수도권 출신 대학 졸업자들이 수도권에취업할 경우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거주해야 하기 때문에이러한 주거 및 주거비 문제를 더 직접적으로 경험하게된다.본 연구는 사회진출 초기자들의 주거 및 주거비 부담실태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사회진출 초기자들의 주거문제를 예비 사회진출자인 대학생들, 특히 비수도권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졸업 후 주거 및 주거비 원천에 대한 기대와 주거비 부담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조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expectations on post-college housing and sources of financeto afford housing costs; and perception of housing cost burden. Between May 28, 2012, and June 17, 2012, a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graduate students in university-A located in non-capital region and 465useable responses were collect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bout 60% of respondents expected to live apartfrom their parents or relatives within two years from college graduation; (2) Majority of respondents who expected tolive apart from their parents or relatives expected to rent housing units and compact non-traditional housing types suchas studio units; (3) Major source of finance the respondents expected to afford post-college housing costs was financialsupports from their parents and families; (4) Housing cost burden were perceived to have influence even on job decisionand respondents with lower parents’ income perceived housing cost burden more influential; and (5) In spite ofrespondents’ low financial independence to afford post-college housing costs, finding housing units in areas withrelatively lower housing costs seemed not to be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choosing post-college housing.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예비 사회진출자의 졸업 후 주거에 대한 기대 및 주거비 부담에 대한 인식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