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일본의 동해 침투와 죽변지역 일본인 살해사건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3.01
4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수록지정보 : 동국사학 / 54권
저자명 : 한철호

목차

Ⅰ. 머리말
Ⅱ. 일본의 동해 침투와 죽변
1. 동해 측량 실태
2. 동해 어업 침투
Ⅲ. 1896년 죽변지역 일본인 살해사건과 처리과정
1. 아관파천 전후 동해지역의 반일운동과 죽변사건
2. 죽변사건의 처리과정과 그 의미
Ⅳ. 맺음말

한국어 초록

경상북도 울진군의 죽변은 울릉도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했으며, 동해안의 중요한 良港이자 어류도 풍부한 어장이었다. 이러한 지리적?자연적 조건 때문에 죽변은 개항 후에도 일본의 침투 근거지로 손꼽혀왔다. 이에 조선인은 일본 어민과 충돌하면서 저항하였다. 이에 본고는 아관파천 전후 최대의 일본인 살해사건임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1896년 3월 죽변사건의 배경과 과정, 그리고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일본은 개항 직후인 1878년부터 동해에서 개항장 후보지를 물색하기 위해 측량을 실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1880년 5월 아마기호가 죽변을 최초로 조사하였다. 이 보고서의 내용은 ?환영수로지?와 ?조선수로지?에 실렸고, 죽변만약측도 도 발간되었다. 1899년 9월 마야호는 울릉도를 조사한뒤 울릉도에서 가장 가까운 곳이 바로 죽변이라고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1905년 2월 일본의 독도 강점 당시, 기모쓰키에 의해 무주지선점의 근거들 중 하나로 악용되었다.
1880년 원산 개항 후도 서일본 지방에서 동해까지 거리는 너무 멀어 소형어선으로 조업하기가 곤란했고, 동해에 적당한 항구가 적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1890년대에 들어 죽변이 큰배를 정박할 수 있는 항만이며 어류가 풍부하다는 사실이 점차 퍼지면서 일본어민이 본격적으로 침투하기 시작하였다. 그 과정에서 생계를 위협받은 죽변인의 반일감정이 고조되었다.
아관파천 전후 전국에서 반일운동이 극렬하게 전개되는 상황에서 강원도에서도 1895년 12월부터 강릉의병이 봉기하였다. 1896년 3월 2일 강릉의병이 원산으로 떠난 직후인 3월 13일 강릉의병과 합세한 죽변인이 일본어민 24명을 습격해 15명을 살해한 죽변사건이 일어났다. 죽변사건의 전말을 전해들은 일본은 군함을 급히 파견해 조사하였다. 죽변사건은 강릉의병이 원산으로 진격하는 과정에서 일본군의 전력 배치에 혼선을 야기했던 것이다.
일본은 조선에 죽변사건을 포함해 일본인의 피살 등을 강력하게 항의 하였다. 그러나 조선의 민비살해사건의 심문 및 추궁 등 난관에 봉착한 일본은 5월 30일 일본인 62명의 인명피해 배상금을 지불할 것 등을 요구하였다. 여기에는 죽변사건의 피살자와 부상자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1897년 7월 말 재산상의 손해배상금을 조선에 추가로 요청했을 때 죽변사건의 피해액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배상금을 최소한으로 요구한다는 방침에 따라 인명피해가 가장 컸던 죽변사건이 제외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한국정부는 아무런 답변을 주지 않았다. 일본도 민비살해사건이 발목을 잡은 탓인지 선뜻 나서지 못하였다. 1901년 12월 일본은 죽변사건의 피살자 가족이 보내온 당시의 사진 3장을 제시하면서 배상금문제를 조속히 타결하자고 독촉했지만, 아무런 성과를 거둘 수 없었다. 따라서 일본은 손해배상건을 한국정부의 책임 문제로 교섭하기보다 고종의 단독 의사에 호소하는 방식을 추진하였다. 러일전쟁의 전운이 감돌았던 1905년 1월 일본은 고종에게 정부 재정 혹은 내탕금에서 지불해달라고 요구해 동의를 얻어냈다. 그 결과 1월 30일 고종이 내탕금 18만여 원을 지불한다는 조서를 반포함으로써 죽변사건을 포함한 손해배상 문제는 9년만에 비로소 타결되었다. 그 과정에서 죽변사건은 일본이 한국을 추궁하는 데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었다.

영어 초록

Jukbyeon, an affluent port at Uljin County, North Gyeongsang Province, in
the East Sea coast is the closest point to Ulleungdo. The natural and geographic
features made this port counted as a main infiltration point for Japanese people
after the opening of ports. But conflict occurred between Chosun people and
Japanese fishermen.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ause, process, and meanings of
Jukbyeon Incident of March 1896, which is not widely known in spite of its
importance.
Japanese government surveyed the East Sea coast searching for a proper port
for opening from 1878. The Ship Amagi made a first survey of Jukbyeon in May
1880. The survey report was carried in Hwanyeoong-suroji and Chosun-suroji, and
Jukbyeonman-yakcheukdo was also published. The Ship Maya recognized Jukbyeon
as the closest point to Ulleungdo after surveying the island. Kimotsuki made an
ill use of it in justifying terra nullius argument when Japan usurped Dokdo in
February 1905.
Even after the opening of Wonsan, it was hard for small ships to make a
long voyage from West Japan to the East Sea coast. It was known in 1890s that
big ships can anchor at Jukbyeon port and that fisheries are affluent. Then
Japanese fishermen began to infiltrate into the area. This infiltration aggravated
the life of Jukbyeon people and their anti-Japanese feelings increased.
When anti-Japanese movement was spreading throughout the country around
the Korea Royal Refuge at the Russian Legation, righteous army rose up at
Gangneung in Gangwon Province in late 1895. On March 13, 1896, the people
at Jukbyeon in alliance with Gangneung righteous army attacked 24 Japanese
fishermen, killing 15 of them. Japanese government dispatched a warship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incident. This incident caused a confusion in the deployment
of Japanese forces against the Gangneung righteous army moving toward Wonsan.
Japanese government lodged a strong protest against the incident. But facing
the pressing demand for the account about the slaying of Empress Min, Japan
claimed damages for 52 Japanese victims. The damages included those for the
Japanese who were killed and wounded at the Jukbyeon Incident. When Japan
claimed additional property damages in July 1897, however, the damages for
Jukbyeon Incident were not included. It seems that this incident was excluded
following the policy of minimizing the amount of claims. But Korean government
did not respond to the demand. Thus Japanese government changed its plan by
asking for Emperor Gojong’s decision instead of negotiating with Korean
government. In 1905, Japan appealed to Gojong and got his approval to make
payment be made from government finance or royal finance. The compensation
for damage, including that for the Jukbyeon Incident, finally came to a settlement
when Emperor Gojong proclaimed an Imperial edict to pay 180 thousand odd
won from the royal finance on January 30, 1905. The Jukbyeon Incident was
exploited as an important ground by Japan in calling Korea to account.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일본의 동해 침투와 죽변지역 일본인 살해사건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