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집단 따돌림 담론을 통해 본 청소년 주체형성과정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4.01
23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2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4권 / 3호
저자명 : 김현성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주체 형성과정으로의 집단 따돌림 담론: 비인간화
Ⅲ. 집단 따돌림 담론의 법적 장치와 권력 효과: 일상생활에 대한 감시
Ⅳ.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1990년대 일간지에 나타난 청소년 문제 담론을 중심으로 청소년 주체 형성 과정과 그 과정
에서 작동하는 담론의 장치와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청소년 문제가 어떤 식으로 정의되고, 문제가
있다는 청소년의 행동이 어떻게 담론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청소년 문제 담론의 청소년 주체 형성 과정
을 고찰함에 있어서 본 연구는 푸코의 담론 형성 차원을 활용하였다. 특히 푸코가 제시하는 담론 대상의
형성과 전략의 형성을 중심으로 청소년 주체 형성 과정과 이를 둘러싼 담론의 장치와 효과들을 탐색하고
자 하였다.
청소년 문제에 관한 담론은 1990년대에 들어서 양적으로 폭발적인 증가를 보였을 뿐 아니라, 다양한 유
형의 청소년 문제를 만들어냈다. 그 중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1990년대 청소년 문제의 가장 대표적인 유
형이며 여타 다른 사회적 담론들과 맞물려서 증폭되고 확대된 담론인 집단 따돌림에 관한 담론이었다. 이
러한 담론들은 구체적인 청소년의 보호 장치로서 ‘청소년 보호법’을 만들어내었고, 그 제도적 장치 안에서
청소년 보호의 시스템은 가동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법적 장치만으로는 청소년 보호를 완벽하게 이룰
수 없다는 사회의 인식은 청소년들에 대한 끊임없는 사랑과 배려, 관심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는 청소년
보호라는 커다란 명제 속에서 사회는 청소년의 일상생활에 대한 감시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이다.
청소년 보호의 새로운 시스템으로 작동한 것은 바로 일상생활에 대한 미세한 권력의 효과이다. 즉, 생
체 권력으로서의 청소년 일상생활에 대한 감시는 청소년 주체에 관한 권력의 재배치를 의미한다. 단순한
통제 대상으로서의 청소년 주체가 아니라, 권력에 의해 효율적으로 관리되는 청소년 주체인 것이다. 집단
따돌림 담론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국가와 학부모의 시선의 작동은 새로운 형태의 권력 방식이 등장했음
을 의미한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the discourses concerning juvenile delinquency on
the1990s' major newspapers, the process of subject formation and discoursal devices and its effects
exercised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pplied Michel Foucault's discourse formation
rules, especially his discoursal object and strategy formation theory. The discourses on juvenile
delinquency have produced various kinds of juvenile delinquencies since the beginning of 1990s.
Among them, this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iscourses on ‘school bullying,’ which,
combined with other social discourses, have been amplified and expanded, It proved that the
discourses on school bullying formed youth subject into inhumane one. The aspect of ‘school
bullying’ that any juvenile could be victimized without reason was surely an evidence to reveal
juveniles' brutality. Moreover, the fact that anyone could be a victim of ‘school bullying’ called the
attention of not only parents but the public. These discourses caused to establish as a protective
device ‘youth protection law’ within which the youth protection system operated.
However, the social perception that a judical device like the law is imperfect to protect juveniles
asked our society to do careful affection and attention to them. This means that in our society, a big
problem of youth protection arouses the necessity to discipline juveniles's lives. Youth protection as a
new discipline system now appears as a delicate power effect on daily lives. In other words, the
discipline of juveniles's daily lives, that is, bio power, means that the power to control juveniles'
subject has been redeploye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집단 따돌림 담론을 통해 본 청소년 주체형성과정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