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 사회의 교육적 동질혼: 시계열 추세 및 그 함의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1.01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1권 / 3호
저자명 : 박현준, 김경근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함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93년부터 2009년까지 접수된 혼인 신고서를 이용하여, 1990년대 초반 이래 한
국사회에서 교육적 동질혼 경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았다. 그간 한국에서 수행되었던 대
부분의 관련 연구들은 초혼에 기반을 둔 결혼 코호트를 구성하지 못함으로써 시계열 추세를 분석
하는 데 일정한 한계를 가졌다. 그런데 본 연구는 초혼/재혼을 구별하고 출생 연도가 아닌 결혼 연
도를 이용해 결혼 코호트를 구성함으로써 선행연구들의 제한점을 극복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활
용 가능한 최신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역동적인 한국 사회에서 교육적 동질혼이 최근에 어떤 양상
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시의성 있게 보여주고 있다. 분석 결과, 1993년부터 2007년 사이에 부부
간 학력의 연관성이 지속적으로 완화되어 왔음이 밝혀졌다. 교육적 동질혼의 약화 추세는 1990년대
에 보다 뚜렷하고,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소 완화된다. 이처럼 예상과 달리 근자에 교육적 동질
혼 경향이 약화되고 있는 현상의 배경은 후속 연구를 통해 좀 더 엄밀하게 구명될 필요가 있지만,
다양한 근대화의 과정, 교육팽창에 따른 여성 교육기회의 신장, 학력 가치의 하락 등이 일정 정도
기여를 했으리라 짐작된다.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교육적 동질혼의 약화는 귀속적 지위를
중심으로 한 동질혼의 강화를 수반하고 있을 개연성이 크기 때문에 사회 전반의 개방성 증대로 해
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영어 초록

Drawing on marriage registration data, this study examines temporal trends from 1993 to 2007 in
educational homogamy in South Korea. Most previous studies of educational homogamy in South
Korea did not compare cohorts based upon years of first marriage but only birth-year cohorts, which
is a significant limitation in exploring temporal trends. The current study overcomes this limitation by
investigating trends in educational homogamy on the basis of first-marriage coupl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arriage years. More importantly, this research covers the period (1993-2007) of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providing most updated analysis of educational homogamy. Applying
log-linear and log-multiplicative models, the study finds a rapid decline during the 1990s followed by
a much slow decline during the 2000s in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spouses' educational
attainment, which is in part likely attributable to modernization, the increased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due to educational expansion, and the decrease in economic return to
professional jobs. The continued decline in educational homogamy is in sharpe contrast to the
expectation that increased economic inequality and other social changes during the period should have
strengthened the degree of educational homogamy, requiring further systematic research.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decline in educational homogamy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growing
openness of Korean society because declining educational homogamy might have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the growing impact of family background on marriag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 사회의 교육적 동질혼: 시계열 추세 및 그 함의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