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사회의 교육적 동질혼 분석: 1966~2010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2.01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2권 / 4호
저자명 : 박현준, 김경근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인구주택총조사 1% 마이크로 자료를 사용하여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사회에
서 교육적 동질혼 경향이 어떻게 변화하였고, 그것이 같은 기간 동안에 전개된 사회변동과
어떤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분석은 통혼표에 대수선형모형을 적용하여
가장자리분포를 통제한 후에 부부 교육수준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
다.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장기 교육적 동질혼 추세가 역U자형 곡선의 형태를 띠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한국사회에서는 1970년대 중반 이래 교육적 동질혼 경향이 꾸준히 강
화되어 1990년대 중반에 정점에 이른 후에 다시 약화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외환위기
는 이 같은 시계열적 추세에 변곡점을 제공한 핵심 동인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1960년대에
는 인접 교육수준 간 결혼 장벽이 초졸/중졸 간에 가장 높았지만, 이후에 이 장벽이 지속적
으로 낮아져 2000년대에 들어서는 여러 교육수준 간 장벽 중에서 가장 낮아지게 되었다. 반
면, 1970년대 이후로는 중졸/고졸 간에 가장 높은 결혼 장벽이 유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교
육수준 간 결혼 장벽의 시계열적 추세는 급속한 산업화 및 교육팽창 과정에서 초래된 각 교
육수준의 상대적 가치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영어 초록

Using Korean Census 1% microdata from 1966 to 2010, this study examines long-term
trends over last half-century in educational homogamy between husbands and wives, taking into
account social changes that might have affected the trends in educational homogamy. We apply
log-linear models to marriage tables in order to detect the associa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educational attainment after controlling for the marginal distributions of educational
attainment. Our results display the inverted U-shaped trend over time in educational homogamy.
Specifically, the tendency for people with the same level of education to marry each other
increased from the mid-1970s until the mid-1990s and then declined. The ‘economic crisis’ that
began from the late 1990s matches with the turing point of the trend in educational homogamy.
The results of the crossing model, furthermore, show that barriers were strongest for marriage
between people with primary education and people with middle school education during the
1960s but the barriers decreased since then to the extent that they are weakest in the 2000s.
Since the 1970s, the most difficult barriers to cross are those to marriage between people with
middle school education and people with high school education. The changes in barriers to
intermarriage across educational levels are related to changing values of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associated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ducational expans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사회의 교육적 동질혼 분석: 1966~2010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