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08
2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6권 / 3호
저자명 : 조혜진, 유동철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에 대한 분석결과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관리자 및 사회복지사들의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
다. 이를 위해 서울시복지재단에서 공모한 사업에 참여한 22곳의 지역사회복지관 중 6곳을 선정하여
그곳에 근무하는 최고 관리자를 포함한 라인워커 1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 면접을 실
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 원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6)의 지속비교 분석방법을
활용해 분석한 것이다. 도출된 연구결과의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한 마을만들기 사업과정의 단계는
‘인식전환의 단계’, ‘상호소통의 단계’, ‘협업확대의 단계’, ‘주도성 구축의 단계’의 네 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공급자 중심에서 주민 중심으로 복지관의 관점을 전환하여 주민역량
을 강화하고 신뢰적 관계망의 회복을 통해 주민공동체 조직의 자생력을 구축하는 마을만들기 사업의
원활한 정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또한 결과는 복지적 차원에서 마을공동체 만들
기 사업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높이는 이론적 실천적 논의에 기초자료로 제공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s to deeply investigate the process experience of making the local
organization with the supervisors and the social workers-in-field with the
research question, 'how is the project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lead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this, 6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selected
among 22 ones participated in the public contest of Seoul Welfare Foundation,
and 15 line workers including the top supervisors working there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The interview source material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consistent comparison of Strauss and Corbin(1996).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project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lead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s indicated 4 phases such as 'the step of change of
recognition', 'the step of mutual communication', 'the step of cooperation
expansion', and 'initiative construction'.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I supposed political and practical tasks for
promoting that local residents voluntarily build the community and the change of
paradigm that is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local residents. Also, this study
will be relevan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offered as base line data for
exten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about building community
depending on characteristic of community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