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LEED for Homes의 인증제도 특성 및 인증 후 거주자 만족도 조사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06
1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5권 / 3호
저자명 : 김석경, 이은실

목차

I. 서 론
II. LEED for Homes의 특성과 평가항목
III. LEED 인증주택 거주자의 만족도 평가
IV. 조사 분석 결과 및 해석
IV.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한국어 초록

건축물과 건설 산업 전반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추구하기 위해 1993년에 설립된 이래 미국 그린빌딩협회(US Green Building Council, USGBC)는 몇 년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2000년 3월에 LEED(Leadership in Energyand Environmental Design) 인증프로그램을 선보였다(USGBCa, 2013). LEED 인증프로그램은 단일건물에 대한 에너지 및 친환경 성능 이외에 건물이 위치한 부지의친환경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Sustainable Sites”, 효율적인 수자원관리를 위한 평가항목인 “Water Efficiency”,에너지 및 환경보호를 위한 평가항목인 “Energy andAtmosphere”, 건축재료 및 자원관리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인 “Materials and Resources”, 실내환경 질을 평가하기위한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등을 기본 골자로한 권장형 평가제도이다. LEED 인증이 시행된 초기에는인증절차의 복잡성 및 인증을 받기 위한 초기비용의 부담 등으로 건축주와 건축가에게 크게 호응을 얻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친환경 건물과 건설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LEED 인증을받은 건물들의 에너지 효율, 실내환경의 질, 주변 경관과의 조화 등이 부각되면서, 점차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미국 그린빌딩협회에 따르면, 2009년에 13,000 회원사와기관, 181,000명의 LEED 전문가가 등록되어 있는데, 이 숫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USGBCa, 2013).

영어 초록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main features of US Green Building Council’s LEED for Homesrating system and examine residents’ satisfaction on their LEED-certified homes and neighborhoods. The first part of thisarticle shows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the LEED for Homes rating system and the process to obtain credits of thisrating system. The investigation to assess residents’ satisfaction targeted LEED certified home residents in Midwest inthe United State. The satisfaction was assessed in relation to socio-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To collectdata, a quantitative survey was administered to the residents of LEED-certified homes in Midwest in the US. A total of605 surveys was sent out and 235 were collected, yielding a 38.8% response rate. Findings revealed that LEED-certifiedhome resi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homes and neighborhood although neighborhood satisfaction was lowerthan housing satisfaction. Residents’ income and education were the significant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show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housing satisfaction. Residents’ home ownership, length of residence, housing types weresignificant housing characteristics on their satisfaction while the levels of LEED certifications (i.e., certified, silver, gold,and platinum)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housing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developing effective strategies for those who are less educated, lower income classes, renters, or multi-attached housingresidents for more successful development of LEED-certified homes in the futur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LEED for Homes의 인증제도 특성 및 인증 후 거주자 만족도 조사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