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義寂과 新羅의 唯識思想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4.06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수록지정보 : 동국사학 / 56권
저자명 : 모로 시게키

목차

Ⅰ. 머리말
Ⅱ. 新羅에 있어서 대승 아비다르마의 발전과 義寂-
신라의 대승아비다르마 문헌
Ⅲ. ⌈大乘法苑義林章⌋과 ⌈大乘義林(廣)章⌋
Ⅳ. 義寂 唯識思想의 특징 : 四種聲聞의 해석을 중심으로
Ⅴ. 맺음말

한국어 초록

동아시아에서는 慧遠의 ?大乘義章?과 같은 많은 대승 아비다르마 문
헌들이 찬술되었는데, 이들은 주로 唯識學에 의거한 것이었다. 신라 불교
계에서도 이러한 문헌들이 다수 찬술되었는데, 그들 중 義寂의 ?大乘義林
章?과 같은 문헌은 窺基 찬술로 전하는 ?大乘法苑義林章?과 밀접한 관련
을 갖고 있었다. 의적의 ?대승의림장?은 현재는 전하지 않지만 그 逸文이
여러 문헌들에 많이 인용되고 있는 것을 보면 동아시아 불교계에서 상당히
중시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대승의림장?을 ?대승법
원의림장?에 대한 주석서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善珠의 인용 태도로 보건
데, ?대승의림장? 같은 신라의 문헌들을 단순히 ?대승법원의림장?에 대한
주석서로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7세기 중엽에는 ?대승법원의림장?과
?대승의림장?을 포함한 여러 대승 아비다르마 문헌들 사이에 다양한 상호
교섭이 있었다고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대승의림장? 逸文들의 내용을 통해 義寂의 4種聲聞에
대한 해석을 검토하여 그의 유식사상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種聲
聞 이론은 ?法華經論?과 ?瑜伽師地論?에 나타나는 것인데, 의적에게는 ?법
화경론?에 대한 주석서도 전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義寂과 元曉의
사상적 공통성에 주목하고 있지만, 4종성문에 관한 이해에 있어서는 의적
의 견해는 (玄?의 제자로 생각되는) 神肪을 계승하는 반면 元曉와는 차이가 있다. 신라 불교계가 공통점을 가질 것이라는 선입관을 벗어나서 동아
시아 유식학 문헌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어 초록

In East Asia, many Mah?y?na Abhidharma literatures, such as
Huiyuan’s Dacheng yizhang, Ji’s Dacheng fayuan yilinzhang
and so forth, were written mainly based on Yog?c?ra Buddhism.
Silla Buddhists also wrote same kind of literatures, and some of them,
including Uijok’s Daeseung uirim jang,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Dacheng fayuan yilinzhang. Since there are many citations of Daeseung
uirim jang although the original does not exist now, it seems to be
highly regarded in East Asia. In previous studies, Daeseung uirim jang
has been regarded as a commentary of Dacheng fayuan yilinzhang.
Considering Zenju’s way of quotation, however, it cannot be reasonably
assumed to simply regard Dacheng fayuan yilinzhang as the central
platform of Silla texts. It may be presumed that there was a flexible
interaction of Mah?y?na Abhidharma literatures, including Dacheng
fayuan yilinzhang and Daeseung uirim jang, in the mid 7th centur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Uijok’s interpretation of the
four kinds of ?r?vakas found in the fragments of Daeseung uirim jang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 of his Yog?c?ra thought. The theory
of four kinds of ?r?vakas is based on Miaofa lianhua jing youbotishe(Fahua lun; Vasubandhu’s commentary on the Lotus Sutra) and
Yog?c?rabh?mi, and there remains a part of Uijok’s commentary on
Fahua lun. While recent investigations have proposed the Uijok and
Wonhyo shared similar thought, Uijok’s understanding of the four kinds
of ?r?vakas is inherited from Sinbang (and perhaps Xuanzang) but
different from Wonhyo’s. We might go on to even mor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East Asian Yog?c?ra literatures without prejudice to
Silla tradi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義寂과 新羅의 唯識思想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