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지하수에 대한 개념 비교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2.01
2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영재학회 수록지정보 : 영재교육연구 / 22권 / 4호
저자명 : 이형재, 박상태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지하수의 개념, 형성과정, 존재 형태와 이동
으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초등학교 학생들의 올바른 개념 형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 65명을 대상으로 공간능력검사를 실시하였으
며, 이중에서 과학영재학생 4명, 일반학생 8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면담 자료와 학생들이
그린 지하수 그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수가 무엇이냐는 개념을 묻는 질문에서 공간능력이 높은 초등 과학영재학생들과 중간인
일반학생들은 큰 차이가 없었다. 공간능력이 낮은 수준의 일반학생들일수록 지하수를 상하수
도의 개념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지하수의 형성과정에 대한 개념에서는 공간능력이 높은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은 빗물을 비롯해 강물과 호수, 폭포 등 다양한 지표수를 들어가며 설명
을 하였고, 공간능력이 보통인 초등학교 일반학생들은 전부 비와 강물만을 언급하여 다양한
공간적인 요인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공간능력이 낮은 초등학교 일반학생들은 비와 강물을
언급하면서 인위적으로 지하수가 형성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지하수의 존재 형태에 관한
개념에서는 공간능력이 낮은 초등학교 일반학생일수록 땅속의 흙이나 토양 속에 작은 공극이
존재한다는 공간 지각에 대해서 생각을 하지 못하였다. 공간능력이 높은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은 공간 지각과 관련하여 공극 사이에 지하수가 존재한다는 것은 알고는 있으나 그것
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못하였다. 지하수의 이동에 대한 개념에서는 공간능력이 낮
은 초등학교 일반학생들일수록 지하수의 이동이 없으며, 인위적인 시설을 해야 이동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공간능력에 따라 공극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그에 따
른 지하수의 이동여부에 대한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초등학교 학생들은 지하수에 대한 개념
은 과학적 개념과는 다른 개념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는 자연현상 중의 하나인 지하수에 대
한 오개념이 형성되었고, 대다수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지하수의 개념에 대해 지표 아래 지하
수와 그 주변을 이루는 물질사이의 관계를 연결짓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영어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obtain basic dat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orm
proper concepts by comparing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 ordinary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with regard to the groundwater concept, formation process,
existence forms, and movement. The research subjects were 65 fifth and sixth grader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patial ability test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and 4 science gifted students and 8 ordinary students chosen from th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half-structured interview data and ground water drawing
drawn by the students.
The conclusion derived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purpose is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great differences in the answers to the
question asking what groundwater is between the science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igh spatial ability and the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oderate spatial ability. The ordinary students with low spatial ability tended to regard
groundwater as the concept of water and sewage. In the concept of the formation
process of groundwater, the science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igh
spatial ability explained it by citing diverse surface water such as rainfall, river water,
lake, and waterfall, and the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oderate spatial
ability all mentioned only rainfall and river water and could not explain diverse spatial
factors. The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low spatial ability mentioned
rainfall and river water and perceived that groundwater was formed artificially. In the
concept regarding the existence form of groundwater, the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low spatial ability could not think of space perception that small pore
space exists in earth or soil in the ground. The science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igh spatial ability knew that groundwater exists in pore space with regard to spatial perception but could not mention it concretely. In the concept
regarding groundwater movement, the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low
spatial ability thought that there was no groundwater movement and that it could be
moved only by artificial facilit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ore
space and in the perception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groundwater movement
accordingly, but for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ncept of groundwater
wa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cientific concept. It is considered tha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med erroneous concept about groundwater and
could not connect ground water under the surface of the earth with the substances
forming its surroundings with regard to the concept of groundwater.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지하수에 대한 개념 비교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