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웹 기반 토론과 SNS 기반 토론에서 사회적 실재감, 몰입, 만족도 및 자기평가의 차이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3.03
2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공학연구 / 29권 / 1호
저자명 : 장은정, 장혜정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증하고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자도 많은사회적 변화에 발맞추어 SNS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SNS를 통한 토론학습의효과를 웹 기반 토론학습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웹 기반 토론과 SNS 기반 토론활동이 학습결과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실재감, 몰입, 만족도 및 성취에 대한 자기평가에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모대학에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웹 기반 토론 집단 28명과 SNS 기반 토론집단 25명이 2주간 토론한 결과를 토대로 수행되었으며, 두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실재감, 몰입, 만족도 및 성취에 대한 자기평가에서 SNS 기반 토론 집단은 웹 기반 토론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SNS를 활용한 토론학습은 학습자에게 사회적 실재감, 몰입, 만족도 및 성취에 대한 자기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향후 SNS 기반 토론학습을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현장에 적용하고, 학습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촉진전략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다.

영어 초록

Recently, uses of smart phone and user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increases rapidly and werecausing a lot of soci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Web-based debate and SNS(Facebook)-based debate learning on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satisfaction and self-evaluation. Therefore, we analyzed whether Web-based debate and SNS-baseddebate activity make effect that is some to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 satisfaction andself-evaluatio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5 SNS-based debate group and 28 Web-baseddebate group who take a course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technology” class at universityin Seoul. To analyze difference of two groups, result that analyzed MANOVA were as following.First, SNS-based debate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satisfaction and self-evaluation that were higher than Web-based debate group. Second, according tocomment content analysis of SNS-based debate group, SNS-based debate made positive responsepossible, such as convenient function for instant response and feedback, activated communication, easyto share learning materials.According to result of this study, debate learning that utilize SNS had made positive effect tosocial presence, learning flow, satisfaction and self-evaluation to learner. For future research needs toaddress the facilitate strategies to apply SNS-based debate learning in educational fiel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웹 기반 토론과 SNS 기반 토론에서 사회적 실재감, 몰입, 만족도 및 자기평가의 차이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