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신체표현활동을 이용한 노래부르기가 정신지체아동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2.01
1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 3권 / 2호
저자명 : 엄진명, 이필상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결론 및 논의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신체표현활동을 이용한 노래부르기가 정신지체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정신지체아동 14명을 각각 7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신체표현활동을 이용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비교 집단에는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을 각각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신체표현활동은 정신지체아동의 수용․표현어휘력을 향상시
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표현활동이라는 독립변인이 정신지체아동의 수용․표현어휘력 향상이라는 종속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지 못한다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프로그램
을 적용한 두 집단 모두 수용․표현어휘력의 향상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집단에서 공통으로 적용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수용․표현어휘 습득에 있
어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inging through Body Expression Activities(BEA)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acquisition of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he subjects were 14 mentally
retarded children, who were divided equally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A
singing program along with BEA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mparative group
dealt with just a singing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BEA had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mentally retarded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but statistically it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indicates that BEA(an independent factor) is not a decisive factor in the improvement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 subjective factor).
Even though they took different programs,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It implies the singing program applied to both groups was effective to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acquiring vocabulary.
These results showed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the
two programs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acquisition of vocabulary. In other words, BE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but didn't act as an influential factor.
Consequently the basic level of BEA used in this thesis seems to work as a factor to boost children'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rrespective of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신체표현활동을 이용한 노래부르기가 정신지체아동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