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음악활동에서 관찰될 수 있는 유아의 언어의사소통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3.04
3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음악치료학회지 / 15권 / 1호
저자명 : 장혜원

목차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제언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음악활동에서 관찰될 수 있는 유아의 언어의사소통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 기반적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시안의 문항양호도를 알아보
았다. 연구대상은 총 120명의 유아가 참여하였으며 연구기간은 총 8개월이었다. 자료분석은
참여자에 대한 정보제공을 위해 빈도분석, 교사관찰가능성 분석과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 문항의 신뢰도를 위해 문항내적일치도 신뢰도 검
증, 문항변별력을 위해 상하집단 간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관련문헌 고찰 및 국내 평가도구를 분석,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음악활
동에서 관찰할 수 있는 언어이해력 48개의 문항, 언어표현력 62개의 문항, 총 110개의 문항
이 개발되었다. 둘째, 문항양호도 검증을 통해 109문항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
의 문항양호도 검증 결과 교사관찰가능성 점수, 전문가 내용타당도 점수, 문항각각의 신뢰
도 점수가 높게 산출되었다. 또한 높은 문항변별도가 나타났는데 하나의 문항을 제외하고
문항별 상하집단 간 유의한 점수 차이가 산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음악활동에서 유아
의 언어의사소통을 평가할 수 있다는 평가체계의 기틀을 제공한 것이다.

영어 초록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ating scale that provides an adequacy of
items and an adequacy of testing for the assessments of infants’ communications that
were observed during music activities. For the research,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correlating literature and, with the developed items, the infants’ communication was
assess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120 children were aged from four
to six years old. research period is eight months. The data was analyzed by face validity,
content validity, item discrimination, and items reliability. As a result, A rating scale was
made up 2 sub-scales(receptive language, expressive language) 110 items through a
literature reviewing and instruments. A panel of experts in infant education and speech
therapy, music therapy examined the contents validity. The preliminary 109 items was
administered in a series of two pilot tests conducted in this study. Over all face validity,
content validity, item discrimination, and items reliability were high levels. It was shown
that the rating scale in music activities for the assessments of infants' communications
is reliable rating systems for the assessments of infant communications in infant
education centers since they provide an adequacy of items and an adequacy of testing
based on a systematic process of analysi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음악활동에서 관찰될 수 있는 유아의 언어의사소통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