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알코올중독에 관한 사회복지기관 실무자와 지역주민의 인식 비교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3.01
2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수록지정보 : 임상사회사업연구 / 10권 / 1호
저자명 : 최희철, 이은진, 백형의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서울지역 N구의 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사회복지기관 실무자들과 지역주민 통반장
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알코올중독에 대한 인식 수준과 그 차이를 파악하고 정신보건기관의 알코올 중독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파악하여 알코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 내 서비스 유관기관 간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
계방안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신보건센터와 지역에서 연계를 맺
고 있는 사회복지실무자들과 지역주민 통반장 등 총 653명을 대상으로 알코올중독에 대한 인식 수준을 측정하
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기관 실무자의 경우 알코올 중독의 치료에 대한
인식이 통반장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복지 실
무자와 통반장간의 알코올 서비스의 내용에 대한 인지에서도 사회복지 실무자의 알코올 관련 서비스 인지율이
통반장보다 높은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사회복지 실무자들은 통반장에 비해 서비스 연계에
대해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알코올중독의 예방 및 재활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
중독자들에 관한 서비스 제공에 있어 알코올 중독자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체계적으로 사례관리를 할 수 있는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사회복지기관 실무자들을 위한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알코올 관
련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게이트키퍼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주민을 위한 알코올 중독의
치료 및 서비스에 대한 교육과 서비스 연계의 중요성에 대해 지속적인 교육과 인식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
막으로 알코올 중독자의 사례관리를 위해 정신보건 센터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사회 유관기관 간 연계체계가 더
욱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음주문제의 예방 및 해결을 위한 공동사업 추진이 이루어질 수 있으
며, 장기적으로 알코올 중독에 관한 치료효과를 높이고 유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levels and differences in relation to alcoholism conducting a survey
with social welfare agencys practitioners in the community and especially heads of tong and presidents of the village
among local residents focused on the mental health center in N gu, Seoul, understand the need for mental health
organs to provide alcoholism services,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build systematic and efficient connection
programs between service-related organs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solve alcohol problems. For this, recognition levels
concerning alcoholism were measured with 653 people in total including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associated with the
mental health center in the community and especially heads and president of tong among local resident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in the case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they had higher recognition than heads of tong and presidents of the village in relation to treatment of
alcoholism,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the two groups. Th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recognition rates of alcohol-related serv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heads of tong and presidents of the village
revealing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in recognition between th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and the heads of tong and
presidents of the village in relation to alcohol-related service cont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recognized the service network more accurately than the heads of tong and presidents of the villa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these results, we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for alcoholism in the local community as follows: First, the role should be
reinforced more to find alcoholics as soon as possible and manage cases systematically in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them. Second, professional and practical education related to alcohol should be provided for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in
local communities. Third, it'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and make an effort to improve recognition with
regards to the importance of service network and education of services and treatment of alcoholism for local residents
who can play a role of gatekeepers in the local community. And finally, for case management with alcoholics, network systems
between relevant organs in the community should be strengthened more focused on mental health centers. Through this,
joint projects may be carried forward in order to prevent and solve drinking problems in local communities, and it can
be expected to heighten and maintain treatment effects in relation to alcoholism in the long term.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알코올중독에 관한 사회복지기관 실무자와 지역주민의 인식 비교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