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4.08
최종 저작일
2009.01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6권 / 2호
저자명 : 조덕주

목차

요 약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프로그램의 목적
IV. 프로그램의 방법
1. 반성의 맥락
2. 반성의 절차
3. 반성적 사고 촉진을 위한 교수 방법
V. 프로그램의 전체 구조
VI. 요약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교사 전문성 개발의 주요 키워드인 '반성적 사고‘에 기초하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반성적 사고의 지향방향, 반성의 맥락, 반성의 절차 및 절차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전체 구조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반성적 사고 향상의 지향 방향은 비판적 반성 수준에 이른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이 바람직하다는 토대 위에, 반성의 맥락은 가능한 한 실제적 환경이 주어져야 하며, 아울러 교사교육자는 예비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반성의 절차로는 Korthagen이 제시한 핵심적 본질 추구를 위한 5단계 반성의 절차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교사교육자가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질문과 교수 방법을 제안하였고, 프로그램의 전체 구조는 진단평가, 선행학습, 실제경험 및 유사실제경험, 종합평가에 이르는 6단계를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Reflective thinking' is currently a key concept in teacher educ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purpose, instructional context, teaching procedure, and specific teaching methods of an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student teachers' reflectivity during field experience course.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identified as the improvement of student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The reflection procedure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a cyclical model(ALACT model). A more fundamental form of reflection is discussed in this article. It is the core reflection model(a new ALACT model). This model can be effectively used for supporting student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during practical situations they are confronted with. Therefore, teacher educators should provide student teachers real instructional contexts(real school environment). And teacher educators should give student teachers appropriate questions to make them reflect their own self-identity according the cyclic model. In addition, 6 teaching steps are recommended. Those are diagnostic evaluation, field experience, field experience and quasi-field experience, quasi-field experience, summative evaluation. These teaching steps can be used for 14-week field experience cours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