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식재모듈을 활용한 조름나물(Menyanthes trifoliata L.) 인공서식지 조성의 효과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5.06
최종 저작일
2015.02
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17권 / 1호
저자명 : 허진옥, 김흥태, 김철민, 배연재, 김재근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한국어 초록

멸종위기종인 조름나물의 인공서식지 조성을 위해 식재 모듈을 이용하여 호수의 가장자리에서 개방수면으로 생장하는
조름나물의 서식 유형을 재현하였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관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의 서식지를 조성할 목적
으로 메조코즘 실험을 수행하고 3년간 모니터링 하였다. 또한 조름나물 식재 모듈이 사용된 메조코즘이 수서 대형무척
추동물에게 서식지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식재 모듈은 상토와 펄라이트, K-SOIL(바텀애쉬를
활용한 인공경량토양)로 기질 조건을 달리하였고, 이 모듈은 크기가 다른 2종류의 습지박스(1170×2250×300mm3,
900×1360×190mm3)에 설치되었다. 모니터링 결과 조름나물은 잎의 수와 피도에 있어서 기질 조건과 습지박스 크기
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잎의 수는 상토(평균 23개)와 K-SOIL(평균 28개) 조건에서는 유사한 생육
상태를 보였지만, 펄라이트(평균 2개)에서는 생육이 불량하였다. 또한 큰 습지박스의 조름나물이 작은 습지박스의 조
름나물에 비해 더 많은 잎을 가졌다(p=0.015). 피도와 지하경의 길이, 지하경의 수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
었다. 1,145개체를 포함한 수서 대형무척추동물 21개 분류군이 조름나물 메조코즘 내에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양도 지수 및 정착 지수 값 또한 주변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조름나물 메조
코즘은 수서 대형무척추동물에게 충분히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식재 기질로 상토와 K-SOIL을 사용하
고, 조름나물이 생장할 수 있는 개방수면이 확보되도록 모듈을 설치하며, 수심이 약 30cm가 되도록 관리한다면 식재
모듈을 이용한 조름나물 서식지 조성은 성공적일 것이다.

영어 초록

Habitat creation for endangered species Menyanthes trifoliata L. using planting module represents a habitat type such
as the rhizome grows horizontally to open water at the margin of the lake. The objectives of this mesocosm
experiment are habitat creation with easy construction and low management effort, an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providing a habitat for aquatic macroinvertebrates. Planting modules had three different substrates of bed soil, perlite
and K-SOIL (artificial lightweight soil using bottom ash). These modules were established in two different size of the
tub(1170×2250×300mm3, 900×1360×190mm3).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s, number of leaves and coverage
of M. trifoliat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ubstrate and tub size. The number of leaves showed similar growth
responses in bed soil (mean 22.979) and K-SOIL (mean 28.042) substrates but growth was poor in perlite substrate
(mean 1.667). The number of leaves in the large tub was more than small tub (p=0.015). Similar responses were
obtained with the coverage, the length of rhizome and the number of rhizome in M. trifoliata. A total of 21 taxa of
aquatic macroinvertebrates including 1,145 individuals was found in the mesocosm. The Shannon diversity index and
colonization index in the mesocosm we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erimental
mesocosm could provide sufficient habitats for aquatic macroinvertebrates. If planting modules use bed soil or
K-SOIL by planting substrate, establish that taking into account open water surfaces for M. trifoliata growth and
manage about 30cm of water depth control, then habitat creation for M. trifoilata will be successful.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식재모듈을 활용한 조름나물(Menyanthes trifoliata L.) 인공서식지 조성의 효과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