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외도자의 외도 원인에 대한 고찰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6.05
최종 저작일
2015.04
1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심리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7권 / 1호
저자명 : 최영아, 박경

목차

서 론
선행연구 고찰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해외는 외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국내는 외도 연구가 적고 특히 외도자에 대한 연구가
드물어 외도자가 외도를 하게 되는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치료적 방향성 제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해외의 연구자들은 외도를 성적 외도와 정서적 외도로 구별하여 정의한 후 외도에서의 성차
연구를 주로 하였고, 외도가 일어나는 원인을 설명하는 연구 또한 진행하고 있다. 외도의 원인은 설명하
는 이론은 다양한데 이를 범주화하면 개인 내적 요인, 맥락적 요인, 동기 요인, 사회 문화적 요인으로 구
분할 있다. 개인 내적 요인으로 인해 외도가 일어난다고 보는 관점에는 진화론, 특질이론, 정신분석과 애
착이론이 해당한다. 맥락적 요인으로 인해 외도가 발생한다고 보는 관점에는 결혼 갈등과 결혼 만족도
관점이 있고, 이러한 관점은 결혼 자체에 대한 불만족과 부부 관계에서 충족되지 않은 욕구와 기대로 인
해 외도가 발생한다고 본다. 외도자의 외도 동기를 섹스, 친밀감, 사랑, 복수, 호기심, 안심, 자존감 고양,
스트레스 해소, 파트너의 돌봄, 감정 회피로 파악한 후, 외도 동기를 개인 내적 요인과 관련지어 설명하
는 외도 원인 연구도 있다. 사회 인류학적 관점은 사회적 권력 구조 하에서 외도를 이해하며 남성의 외
도에 대해서 허용적인 사회 문화적 배경이 외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또한 외도 원인을 보다 통
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연구는 개인 내적 요인, 맥락적 요인, 시간 요인인 외도 진행 과정을 외도 요인으로
파악하고 외도자, 배우자, 결혼, 사회적 맥락이 외도의 진행 단계인 취약요인, 접근요인, 촉발요인, 유지
요인, 발각요인, 반응 요인 각각과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외도가 발생하고 종결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외도자의 외도 원인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외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향후 외도 연구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해보고자 한다.

영어 초록

Studies of infidelity has been actively examined abroad, however, Korea falls behind on examining
the issues on infidelity. We face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psychological mechanism related to
infidelity and means of advocating therapeutic orientation. Infidelity is distinguished by sexual
infidelity and emotional infidelity. Infidelity is provoked by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spects of intrapersonal factors can constitute in trait, psychoanalysis and prospects of
attachment. Likewise, contextual factors can incorporate marriage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Researches has suggested that motivations for infidelity derive from
sex, intimacy, love, revenge, curiosity, security, self-esteem, stress relief, care giving and emotional
detachment. Researchers have tried to connect motivations to theories for infidelity. The contextual
perspective of infidelity derives between conflicts in marriage and marital satisfaction; motivated from
their unseemly needs and desires. Additionally, soci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identifies the
background of infidelity, it persist an unbalanced social power structure and culture for sex. Integrated
perspective for infidelity is composed by four source of dimensions and temporal dimensions. Source
dimensions are involved partner, spouse, marriage and context. In contrast, temporal dimensions are
predisposing factors, approach factors, precipitating factors, maintenance factors, disclosure factors and
response factors. The paper review previous studies and behavior of infidelity. Furthermore, I would
like to suggest to orientations of future research on infidelity in Korea.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외도자의 외도 원인에 대한 고찰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