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전통회화 속 관념산수의 미술 교육적 활용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11.05
최종 저작일
2015.09
20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55권
저자명 : 김선영, 이주원

목차

I. 서론
II. 관념산수의 이론적 배경
III. 전통 관념산수화 분석
IV. 관념산수화의 미술 교육적 활용방안
V.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관념산수화에 나타난 전통적 화론인 의경론과 와유사상에 관하여 고찰한다.
또한 이를 통한 미술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전통 안에서 어렵게만 여겨지는 관념산수
화에 관하여 학습자가 현대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가상
실재가 사유적 바탕으로 작용하는 현대의 맥락 안에서 전통미술을 새롭게 재조명하여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의 전통 산수화 양식 속에 작가
의 창의적인 사고와 감성들이 적용된 것들을 다루어 본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적 고찰을 바
탕으로 현대의 학습자들에게 수업예시로 활용하고, 결과물의 도출을 통해 작품을 분석한다.
산수화는 세속적인 삶과 대비되는 이상향의 상징으로,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자연풍광을 표
현하는데 있어서 상징적으로 표현되어왔다. 이러한 관념산수화는 작가가 현실을 바탕으로 재
구성한 생각 속의 산수다. 우리는 그 안에 담겨진 내러티브와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의미를
부여하고 유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안견의 <몽유도원도>와 심사정의 <촉잔
도권>을 소개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미술교육적 제시안으로는 학습자가 의경과 와유에 관한
내러티브를 형성하게 하고 이를 상징화할 수 있는 시각적 매체를 활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학생 예시작에 나타난 상상 속 공간들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관념산수의 미학적 내용을 이해
하고 이를 현대적 일상 안에서 접목하여 재창출하는 방식을 통해 구체적인 미술교육 활용방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ideal landscape'
in the traditional patings. The analysis of a 15th century ideal landscape paintings
<Mongyudowondo> and <Chockzandokyun> would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aintings, which placed a high value on seeing and almost walking in a
landscape painting with a distilled state of mind as a means of reaching the idea
of mind landscape and the idea of Wua Yu.
The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imply more than portraying the original
form of a mountain or river. Walking in nature through landscape with your mind
is one of traditional approaches in art appreci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mind landscape and Wua Yu, which means leisurely sightseeing while laying
down. I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the idea of the mind landscape and Wua
Yu had a major role in deciding the content and format og landscapes, because it
regards the contemplation of a landscape paintings as significant as walking in the
real nature. The original idea of Wua Yu can be found in Stoicism from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of China. At this time, the philosophers were
lust for the state where the mind floats around freely transgressing into a
transcendent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ind landscape and Wua Yu in
the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and implicate the mind landscape for art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bring and increase attention on the fact that in
traditional ideas and art, there is more emphasis that had been placed on the
various value in the ideal landscape paintings.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the multi-dimensional study o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traditional idea are very essential for contemporary applicat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전통회화 속 관념산수의 미술 교육적 활용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