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드림스타트 정책추진 과정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11.05
최종 저작일
2015.08
3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아동권리학회 수록지정보 : 아동과권리 / 19권 / 3호
저자명 : 조용남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이 기대한 정책 효과를 거두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드림스타트 사업을 중심으로 정책설계 단계부터 정책추진에 필요한 정책여건을 고려하여 입안․설계되었는지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또한, 드림스타트 사업의 운영실태 평가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운영을 잘하는 지역과 미흡한 지역의 차이가 어떠한 요인에서 발생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드림스타트 사업의 설계 당시 정책 환경과 추진과정에서의 갈등 과정 등에 참여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개별인터뷰와 표적집단면접(FGI)을 진행하였다. 또한, 드림스타트 사업운영 평가자료 분석은 2013년 1월~3월까지 실시한 131개 시군구 드림스타트 사업의 평가결과 자료 중 상위 20% 지역과 하위 20% 지역의 평가결과 자료를 비교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드림스타트 사업의 정책설계부터 정책추진 과정에 대한 정책분석 결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첫째, 향후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복지사업 모델을 제시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민간부문에서 출발한 운동이 국가정책으로 채택된 뒤 정책추진과정에서 제기되는 갈등을 풀어가는 방안은 향후 우리나라 아동복지사업이 효율적으로 추진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업운영 평가결과 분석에서는 대도시 자치구와 대도시 기초단체의 경우와 같이, 환경이나 조직 및 인력, 지역자원이나 자원봉사 등 기본적인 인프라가 비슷하게 갖춰져있다고 하더라도 사업의 취지와 목적을 제대로 이해하고 사업을 운영하는 지역이, 사업운영 평가에서도 상위 등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정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서는 실무자들이 사업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고 사업을 추진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nalyzes Dream Start, a nationwide child welfare policy implemented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ream Start accounted for external factors in terms of resources - budget, delivery system, etc - from the beginning. Dream Start
is an especially interesting model because it evolved from We Start – a civil
movement that sprouted from a civil society - to a national policy, and therefore this study employed FGIs(Focus Group Interviews) including interviews with related personnel from the launching stage. Dream Start has developed from a community-wide movement to a national child welfare system through the intensive and systematic consideration regarding budget, scale, and service content and has become the first successful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differentiate successful regions from unsuccessful ones in implementing the Dream Start program, based on operation assessment reports of the ongoing program. In this study, two analyses were managed: with-region model analysis and without-region model analysis. In the case of Dream Start, whether there is manpower with expertise in the program or not deter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his study therefore confirmed its predicted hypothesis that the attitude and level of expertise of the policy executors also account for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ervice program.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드림스타트 정책추진 과정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