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4대강 사업 이전 낙동강 하구 철새 도래지의 주요 조류 현황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12.08
최종 저작일
2015.09
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17권 / 3호
저자명 : 김범수, 여운상, 오동하, 성기준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감사의 글

한국어 초록

낙동강 하구의 생태적 역할과 서식하는 조류종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하구 관리를 위해서는 이곳을 이용하는 조류현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발전연구원 조류모니터링 자료(2003-2011)를 활용하여 4대강 사업 이전의 낙동강 하구의 조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하구에서 관찰된 조류 중 겨울새의 비중이 종수에서는 38.36%, 개체수에서는 63.1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여, 낙동강하구가 겨울철새의 도래지임을 보여주었다. 조사권역별로는 명지(208,651개체), 서낙동강(202,444개체), 을숙도(153,232개체), 백합‧도요등(150,595개체) 순으로 누적개체수가 많았으며, 을숙도(171종), 서낙동강(141종), 일웅도(124종), 명지(123종), 삼락둔치(121종) 순으로 종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하구에서 기록된 232종 중 청둥오리가 197,870개체, 전체의 17.71%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다음으로 흰뺨검둥오리(8.85%), 괭이갈매기(6.48%), 큰기러기(6.09%), 홍머리오리(5.16%), 민물도요(4.22%) 순으로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혹부리오리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분류군들이 연간 변동은 보였지만 조사 기간 중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가마우지류, 고니류, 갈매기류 등은 다른 분류군의 조류 보다 조사 기간 동안의 연간 변동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고니류의 경우 5차년도(2007-2008)와 7차년도(2009-2010)에 개체수가 전년도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또한 8차년도(2010-2011)에는 도요·물떼새류, 갈매기류, 할미새류, 기타 새류에서 개체수의 감소가 관찰되어 이들 분류군의 서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서식지의 특성이 우점종의 분포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어 초록

Understanding bird status is essential for the systematic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systems and the bird species. In this study, bird statu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Bird Sanctuary prior to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was analyzed using the bird monitoring data (2003–2011) from surveys conducted by the Busan Development Institute. The high percentage of winter visitors in terms of both species diversity (38.36%) and individual bird numbers (63.14%) suggest that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an important wintering site for migratory birds. Cumulative numbers of individual birds were higher in Myungji (208,601), West Nakdong River (202,444), Eulsukdo (153,232), and Baekhap·Doyodeung (150,595). The total numbers of migratory species were higher in Eulsukdo (171), Ilungdo (124), Myungji (132), and Samrak (121). Among the 232 species foun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as platyrhynchos (17.71%) was the most common species, followed by Anas poecilorhyncha (8.85%), Larus crassirostris (6.48%), Anser fabalis (6.09%), Anas penelope (5.16%), and Calidris alpina (4.22%). Most bird taxa, except shelducks, showed annual fluctuations in individual numbers, with increasing frequency during survey periods. Of these, cormorants, swans, and gulls showed higher fluctuations than other taxa. Swans decreased drastically in numbers in 2007–2008 and 2009–2010 compared to previous years. Shore birds, gulls, wagtails, and other forest birds were also less common in 2010–201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ere some environmental changes that might have affected the bir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habitat types affect the distribution of dominant specie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4대강 사업 이전 낙동강 하구 철새 도래지의 주요 조류 현황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