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선원법상 선원건강증진을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16.04.02
최종 저작일
2013.11
3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8,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해사법학회 수록지정보 : 海事法硏究 / 25권 / 3호
저자명 : 전영우, 김재호, 서우영, 최연희, 최순호, 박일수, 강성홍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우리나라 선원재해 발생현황
Ⅲ. 설문조사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선원의 의료와 건강실태 현황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선원에 대한 의료지원 및 건강증진을 위하여 개선해야 할 점을 찾고 의료사각지대로 되어 있는 선내 의료 및 건강관리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선원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추진과제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선원법 등의 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추진하여야 할 제도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첫째, 선내응급의료지원의 질적 향상을 추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전화에 의한 음성 정보에 의존하여 응급의료지원을 하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여야 하며, 의료지원을 하는 의사가 응급선원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건강측정장비를 선박에 비치할 것을 의무화하는 등 제도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응급 시만 의료지원을 하는 현행 제도를 개선하여, 응급 시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의료지원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원격의료에 대한 현행 법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선박 등 의료기관 이용이 제한되어 있는 곳에 대해서는 의료 수요자가 절실하게 요청하고 있는 원격의료의 허용을 전향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셋째, 최근 발달하고 있는 최신 응급의료장비의 선내비치와 더불어 각종 해상 응급상황에 맞는 의약품을 갖출 수 있도록 특히, 신종 전염병의 발병 시 지체없이 필요한 예방약품을 갖출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선원법 시행규칙 제52조에 대한 정비와 선내에 비치할 의약품과 의료장비 비치기준에 대한 주기적인 검토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넷째, 의료관리자 제도에 대한 개선방향으로는 선원법 제85조 및 제87조를 개정하여 선박소유자가 선장 또는 1등항해사 중에서 의료관리자 또는 응급처치담당자를 지정하도록 제도적 보완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원에 대한 원격의료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의료관리자에게 원격의료 상황에서 원격지의사를 보조하여 원만한 의료행위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의 마련도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다섯째, 선원의 건강문제에 대하여 상병 후 치료 중심에서 발병 예방 중심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선박에 비치할 건강측정장비를 개발하고 평소에 선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예방적 선원건강관리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은 선원건강증진센터를 설치․운영하는 것이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items necessary for strengthening medical as-sistance and health promotion of seafarer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es on the present status of medical care and health conditions of sea-farers, and propose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system for promotion of health and medical care conditions on board. It is necessary to make legal base in or-der to achieve policy tasks to be taken for the promotion of seafarers' health identified by this study. To this end the following should be carried forward.Firstly, the quality of emergency medical assistance to ships needs to be enhanced.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present limitations where emergency medical assistance is given by heavily relying on the audio in-formation through radio medical advice and to strengthen legal system requiring ships to equip with health measurement instrument on board through which the doctor providing medical advice could much better grasp the health conditions of seafarers in emergency.Second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edical care system where the med-ical assistance must be available not only in emergency situations but also or-dinary normal times through innovating the present system where it is available only in emergency situations. To realize this, it is essential to amend the legal system relating to the remote medical treatment and care. It must be pro-spectively considered, for special places such as ships, etc. where the avail-ability in utilizing medical institution is limited, to allow the remote medical care for which medical care demander have been longing.Thirdly,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legal system whereby latest emer-gency medical equipment having recently been developing should be carried on board as well as medicines essential for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on board should be provided and necessary preventive medicines should be despatched without delay especially upon outbreak of a new infectious disease. To do this, the regulation 52 of enforcement ordinance of Seafarers' Act needs to be re-vised as well as a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whereby a periodic review on the standards concerning medicines and medical equipment to be carried on board could be conducted.Fourthly, with respect to improving the system of persons in charge of medi-cal care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articles 85 and 87 of Seafarers' Act so that shipowners must appoint either master or chief officer as the person in charge of medical care or medical first aid. And it should be tried to introduce a system where the person in charge of medical care or medical first aid could assist remote medical doctors for successful medical treatment in the situations of providing remote medical treatment for seafarers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remote medical treatment and care for seafarers.Fifthly,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health check-up equipment to be car-ried on board and introduce the preventive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sea-farers where seafarer's health conditions could be checked up by conducting regular medical examination in order to evolve from after cure system to the era of prevention of outbreak of diseases on board. An effective way of realizing this could b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eafarers' health promotion center.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선원법상 선원건강증진을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