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楊州 徽商의 문화적 욕구와 그림시장에 미친 영향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16.04.02
최종 저작일
2013.12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4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양미술사학회 수록지정보 : 東洋美術史學 / 2권
저자명 : 유미경

목차

1. 서 론
2. 휘상의 등장과 양주진출
3. 양주휘상의 경제적 위력
4. 휘상의 문화적 욕구와 그림시장의 동향
5. 안휘파 유입과 예찬화풍의 성행
6. “희신상기(喜新尙奇)”의 서화상품 유행
7. 결 론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18세기 중국회화사에 획기적인 변화와 발전을 가져온 양주화단의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휘상들의 문화적 성향과 경제적 영향력이 당시 그림시장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 商幇가운데 휘상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문사적 향유를 중시하는 경제성향에 관해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아울러 연관 작품들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강남부자를 대표했던 안휘출신 상인들, 이른바 휘상들은 세 명이 상인이면 한명은 유학을 공부할 만큼 문풍이 만연했던 문헌국 출신들로서 賈而好儒란 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당시 유교적 사회제도에서 천한신분의 상인계층에 속하면서도 문사의 풍격을 숭상하는 지식인으로 평가받은 휘상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과 자부심은 안휘지역의 문화적 정서로부터 배양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여타의 상방보다 本鄕의식속에 각인된 地緣중시의 결속력도 남달랐던 휘상들은 소금이나 쌀. 차 등외에도 고향의 특산품인 서화와 문방용품을 취급하였다. 일찍부터 서화상품에 조예가 있었던 휘상들은 명대 중. 후반기부터 서화와 고동품 소장에 참여하는 한편 예술시장에 무리로 움직이는 적극성을 보여주었다. 이후 휘상들이 막강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중국 화단에서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며 그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자신들의 본거지인 안휘와 지형적으로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양주에서이다. 16세기를 전후하여 양주에 진출했던 휘상들은 청초부터 소금사업으로 축적한 막대한 자금을 문화 사업과 서화시장에 유입시켜 양주화단의 새로운 변화와 활성화에 본격적으로 기여하였다. 그 결과 상류지식계층의 전유물이었던 문인화를 현실적이고 대중적인 시장상품으로 전환시켜 서화시장의 유통구조에 새로운 국면을 조성하였다. 특히 양주화단에 그림의 상품화가 본격화 되면서 작품가격 공개와 작품 값 흥정 같은 파격적인 현상들이 성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휘상들의 본향에 대한 각별한 자부심은 초일하고 분방한 안휘지역 화파의 화풍들을 자연스럽게 양주화단으로 전이시키는 동력이 되었다. 또한 안휘인들의 문화적 욕구 가운데 문사 숭상의 성향과 서화에 대한 조예는 양주지역에 서화소장과 감상을 즐기는 풍조가 만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것을 좋아하고 기이한 것에 관심이 높았던 휘상들의 심미 취향은 대중적 성향의 서화상품화와 그림시장의 흥행을 조장하여 화가들로 하여금 창신에 대한 독특한 표현방식을 가시화시키는데 중요한 계기를 제공하였다.

영어 초록

Huishang merchants played a large role in giving birth to a specific group of Yangzhou-based painters who molded a groundbreaking transformation in the Chinese art scene in the 18th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he cultural aspirations, tastes, and economic influence of huishang merchants affected the 18thcentury Chinese art market.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surveys the literature on the cultural identity and economic tendencies and activities of huishang merchants. This study then makes comparative analyses of artwork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se merchants. Huishang is a term that refers to merchants from Anhui, a region to the south of the Yangtze River. They were well-known for their wealth and fortune. These merchants, from one of the most learned states of China, shared a strong belief in jia er hao ru (賈而好儒—a way of life that emphasizes hard work in both commerce and learning). The unique identity of huishang merchants— who belonged to the merchant class that was generally disdained upon in the Confucian order at the time, but who were also accomplished intellectuals—stems from the distinctive culture and sentiment of Anhui. These merchants from the same region were also noted for the strong ties and connections they cultivated with one another. They therefore traded not only such specialties of Anhui as salt, rice, and tea, but also the paintings and stationeries produced in their hometown. Because of their learning, huishang merchants had a good eye for paintings and artworks and, together, rose as a major group player in the Chinese art market, actively collecting paintings and antiques in the middle to late Ming period.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huishang merchants on art, based on the massive fortune they had amassed from trade and commerce, was especially visible in Anhui and the neighboring region of Yangzhou. Huishang merchants were part of the Yangzhou economy as early as the 16thcentury. Beginning in the early Qing period, they began to invest the huge amounts of money they had earned from salt trade into local cultural projects and artists, shaping the mainstream painting style in the region and giving rise to the Yangzhou painters. It was the huishang merchants who revolutionized the painting market by turning paintings in literary artists’ styles that were formerly thought of as exclusive property of the learned upper classes, into popular mass market products. The commercialization of artworks from Yangzhou painters led to the rise of unconventional phenomena, such as the disclosure of, and negotiation over, the prices of artworks. Huishang merchants’ love of their hometown led to the natural transmission of the liberal style of Anhui-based painters to Yangzhou. Anhuians’ reverence for products of learning and their good eye for paintings also served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a culture of collecting and appreciating art works in Yangzhou. Huishang merchants also had a knack for the novel and the eccentric. This tendency of theirs fuelled the boom of the art market catering to popular andmass tastes, prompting painters to develop unique and creative styles of expression.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楊州 徽商의 문화적 욕구와 그림시장에 미친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