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왕의 남자>에 나타난 연극의 치료적 기능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6.06.07
최종 저작일
2015.12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수록지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 / 5권
저자명 : 이선형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와 의 인물들
Ⅲ.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과 연산군
Ⅳ. 연산군과 연극의 치료적 기능
Ⅴ. 나오며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왕의 남자>에서 왕은 연산군이다. 연산군이 어떤 이유로 폭군이 되었
는지 한 마디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눈에 띠는 역사적 사실은 친모인
폐비 윤씨가 궁궐에서 쫓겨나 사약을 받아 사사되었다는 점이다. 어린 시절
어머니의 죽음은 연산군의 성격형성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특히 아이의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상을 주양육자로 간주하는 대상관
계이론을 바탕으로 할 때 더욱 분명해진다. 어린 연산군에게 커다란 외상과
애정결핍이 생겨났고 그 결과 성인이 되어 왕좌에 올랐을 때 비합리적 정
서와 충동적 성격으로 이어져 비윤리적이고 파행적인 행동이 생겨난 것으
로 간주할 수 있다.
영화 <왕의 남자>는 모성애의 결핍과 외상을 지니고 있는 최고의 권력
자가 어떤 방식으로 불안과 분노를 노출시키는지 잘 보여준다. 특히 창기
출신 유부녀인 장녹수를 후궁으로 삼아 치마폭에서 놀아나는 장면과 천한
광대인 공길을 처소로 불러들여 동성애의 사랑을 보여줌으로써 권력자의
왜곡되고 삐뚤어진 성격, 그에 따른 불안한 정서와 고독이 잘 표현되고 있
다. 그런데 영화에서 연산군은 연극놀이를 통해 비록 일시적이긴 하나 감정
의 해소와 심리적 치료를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연극은 이야기 기능, 거리두기 기능, 허구의 기능 등을 통해 공연자나 관객 모두에게 자기를 점검하
고 미해결 문제에 대해 숙고하도록 하여 변화와 문제의 해결책을 위한 실
마리를 제공한다. 나아가 무의식 속에 깊숙이 숨어있던 외상을 안전한 거리
에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현실에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상
처를 치료할 기회를 마련한다. 이러한 연극적 기능을 본격적이고 구체적으
로 치료에 활용하는 것이 바로 연극치료다.
연산군은 탈놀이, 인형극, 그림자극을 펼쳐 보이는 공길로부터 위로를 얻
고 스스로 연극 무대로 들어와 현실에서 불가능했던 감정을 표출한다. 허구
의 연극으로부터 진실을 밝히고 외상을 치료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던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산군이 생모 사건으로 어린 시절 외상을 입었
을 것으로 가정하고 영화 속 연극의 치료적 기능으로부터 외상이 완화되거
나 치료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연산군의 성격형성을 살핀다. 둘째, 연산군
이 공길과의 만남 이후 광대놀이, 탈놀이, 그림자연극 등을 통해 감정의 정
화된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연극이 지니는 치료적 효과를 탐색한다. 이처
럼 연극의 치료적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연극치료의 지평을 넓
힐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초록

The cinema <King and the Clown>, adopted from the play <Yi>, is
praised for marking a trace in Korean cinema history. In this cinema, the
king is Yeonsangun. He is a Joseon dynasty king who is branded as a
cruel tyrant. It is not easy to say in a word why he has become a tyrant.
At least, one thing is historically certain; when he was young child, his
biological mother, dethroned queen Yoon, has been ejected from the palace
and killed. Perhaps the tragic death of his mother ha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his personality. It becomes more obvious considering the
object relation theory, in which main caregiver definitively influences to the
personality of child. His mother’s death remains a trauma for young
Yeonsangun, so that he becomes a king who has irrational affection and
impulsive nature. His behaviour was unethical, unconventional,
unpredictable.
<King and the Clown> shows well how a supreme power having a
trauma exposes anxiety and anger: his behaviors for Jang Noksu, Gong-gil,
and others. However, the king Yeonsan experiences, in this film, some kind
of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the theatrical play, even if it is temporal.
This film shows the therapeutic function of drama. In general, the theatre
provides clues for solving difficulties by checking the self to spectators through functions such as story, distanciation, fiction, and so on.
Furthermore, it provides the chances to heal the traumas that influence
continuously and negatively by safely expressing his trauma in dista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healing and/or attenuation of
trauma of Yeonsan through the therapeutic function of theatre appeared in
<King and the Clown>. In this article, we explored the formation of
personality of Yeonsan in perspective of object relation theory and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theatre. Since Yeonsan met Gong-gil, he
experiences therapeutic emotions through performances, masque plays,
shadow plays, etc. Thus it will be able to broaden the horizons of drama
therapy by identifying the therapeutic function of the drama.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lt;왕의 남자&gt;에 나타난 연극의 치료적 기능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