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다문화 가정 여성결혼 이민자의 ‘어머니 됨’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6.06.07
최종 저작일
2015.10
27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6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육아지원학회 수록지정보 : 육아지원연구 / 10권 / 4호
저자명 : 이유나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multicultural) 가정 여성결혼 이민자들이 경험한 ‘어머니 됨(motherhood)’의 의미와
경험을 탐색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여성결혼 이민자들은 한국인과의 결혼을 통해 삶의 큰 변화를 겪게 되
고, 그 변화된 모습은 여러 가지 삶의 모습과 역할이 중첩되며 어머니로서의 생활을 경험하게 한다. ‘어머
니 됨’은 자녀 양육기에 있는 모든 여성에게 관찰될 수 있는 보편적 경험이나 여성결혼 이민자들에게 ‘어
머니 됨’의 경험은 더 복합적이고 특수하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총 5명으로 출신국은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중국이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사전 지식 없이 어머니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화적 차이로
인한 혼란을 겪고 있었다. 또한 한국어 이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어머니 노릇(mothering)을 감당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참여자들 대부분은 어머니 역할에 대해 책임감, 부담감, 죄책감 등을 보였
다. 하지만 그들에게 자녀의 존재는 심리적 위안이 되고, 한국사회에서 살아가야 하는 이유를 확인시켜주
고, 이민자로서의 고된 삶을 이겨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에 대한 공
감과 이해,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지원체계 구축에 도움을 주고, 이들의 어머니됨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 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motherhood as experienced by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Married immigrant women
undergo huge changes in their lives when marrying a Korean, and experience life as a
mother while their various personas and roles overlap with these changes. Motherhood
is more complex and special in regard to the experiences widely observed amongst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or in the 'motherhood'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s. The present study utilized the narrative research approac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 total of 5 married immigr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iling
from countries including Vietnam, the Philippines, Cambodia, and China. The research
showed that participants, due to the lack of prior knowledge of being a mother, have
undergone hardship in attaining motherhood. Because they are from foreign countries,
the hardship has been exacerbated by the cultural differences as well as the language
barrier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have sense of responsibility, even guilty feelings,
for not performing the role of mother adequately. However, we learned that their
children provided them with psychological comfort, and that the process of
'motherhood' served as a reason for persevering with life in Korean society as well as
being an impetus for the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life as immigrants. In sum,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support system based on a sense of sympathy,
understanding and trust in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ssist them
somewhat in becoming good mother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다문화 가정 여성결혼 이민자의 ‘어머니 됨’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