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니체의 사유방식에서 본 평생교육의 본질로서의 영성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2.01
최종 저작일
2015.05
2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Andragogy Today / 18권 / 2호
저자명 : 최수연, 최운실

목차

Ⅰ. 문제제기: 평생교육의 본질에 대한 물음
Ⅱ. 평생교육의 니체 식 질문방식과 영성
Ⅲ. 평생교육의 필연적 과제로서의 영성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프리드리히 니체의 사유방식을 통해 평생교육의 본질을 포착하고, 평생교육의 본질로서 영성을 제시하며, ‘영성’이 향후 평생교육의 필연적인 과제가 될 것이란 점을 탐색 및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 본질에 대한 니체 식 질문방식, 평생학습의지와 영성의 관계 및 영성이 평생교육의 과제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 등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니체의 철학을 평생교육 측면에서 조망한 연구가 전무하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실험적 성격을 지닌다. 본 논문은 먼저 서양철학의 질문방식과 달리 ‘왜 ~ 인가?’를 질문하는 니체 식 문제설정 방식을 논의하고, 이를 평생교육에 대한 문제설정과 연계지어 평생교육의 본질로서 ‘영성’의 문제를 도출하였다. 이어, 영성의 중요성은 평생교육 초창기부터 제기되어왔으나 지금까지 국내외 평생교육 연구에서는 소홀히 해 왔음을 지적하고, 영성의 문제가 21세기 한국 평생교육 현장에서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이유를 다음의 세 가지 거시적인 사회문화적 변화를 통해 논의하였다. 첫째, 소유적 실존양식에서 존재적 실존양식으로의 변화이다. 둘째, 향후 베이비부머의 고령층 진입과 40대 이상 인구가 중심이 되는 인구구조의 변화 및 그에 따른 영성 욕구의 증가이다. 셋째, 경제 성장과 함께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이기적 이타주의 풍조의 심화이다. 결론으로, 이런 변화를 바탕으로 삶의 비물질적 측면과 영속적 실체의 암시에 가치를 두는 정신으로서의 영성은 향후 평생교육의 중요한 과제로 부상될 것임을 논의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e paper was, through the thinking method of the philosopher, Friedrich Nietzsche, to find out the essence of lifelong education, to suggest the spirituality as an essence of lifelong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fact that the spirituality would be necessary desires and issues in the future lifelong education world. For this, three research questions was suggested including Nietzsche’s way of question regarding the essence of lifelong edu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ll of lifelong education and spirituality; and the reason why the spirituality would be issues of future lifelong education. the paper firstly discusses Nietzsche’s unique questioning method during the modern philosophy world, which is connected to the questioning method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n discusses the problem of spirituality that the lifelong education should search for. The paper then claims that the spirituality has been neglected in the lifelong education although it had been emphasized from the beginning of lifelong education history. Finally the paper discusses that the problem of spirituality would be an important trend because of the following three macro socio-cultural changes: changing from the type of ‘to have’ to ‘to be’; demographic change moving to over 40s; egoistic altruism trend; and the Market3.0 emphasizing on meaning. Based on
the three social changes, the paper then discusses that the spirituality, highly valued on non-material aspects of life, would be an important task in the future Korean lifelong education world.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니체의 사유방식에서 본 평생교육의 본질로서의 영성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